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화조4폭병풍

추천0 조회수 3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화조4폭병풍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민화란 정통회화의 조류를 모방하여 생활공간의 장식을 위해‚ 또는 민속적인 관습에 따라 제작된 실용화(實用畵)를 말한다.이러한 양식의 그림은 조선 후기 중인층은 물론 서민층에까지 유행하였으며‚ 대부분이 그림공부를 본격적으로 받지 못한 무명화가들에 의해 그려진 관계로 작자미상의 작품이 많다. 서민들의 일상생활양식과 관습 등의 항상성(?常?)에 바탕을 두고 발전하였기 때문에 창의성보다는 형식화한 유형에 따라 인습적으로 계승되었다. 따라서 민화는 정통회화에 비해 수준과 시대 차이가 더 심하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호가 해산(涇山)으로 되어있어 전수용의 작품으로 추정할 수 있겠으나 다른 작품에서 살펴 본 전수용의 화풍이나 화제로 미루어 전수용과 같이 ‘해산’이라는 호를 사용했던 다른 이의 작품으로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 장식적 성격의 화조민화로 곱고 화사한 여성적 정서의 자수 화본을 그림으로 옮겨 놓은 듯하다. 이러한 화법으로 그려진 화조화로는 그 예가 매우 드문 수작이다. 본래는 여덟 폭 이상의 병풍이었던 것을 후에 네 폭 병풍과 한 폭의 액자로 따로 표구한 것으로 보인다. 현존하는 다섯 폭의 작품으로 만 분석해 볼 때 수지‚ 연꽃줄기‚ 물결‚ 꽃 주위를 맴도는 나비들에 이르기까지 장식적이면서도 도식적인 민화의 성격을 잘 드러내 생동감이 결여된 화재들이 등장하고 있다. 모든 나무는 S자형으로 꺾였고 그 위로 거의 수직으로 뻗은 나무 줄기에 한두 마리의 새가 앉아 있다. 꽃잎이나 나뭇잎의 묘사도 장식문양처럼 정형화되어 마치 도안화를 보는 듯 하다. 새와 나비의 부분 묘사에 사용된 짙은 남색의 안료는 전체적 분위기에 묻히지 못하고 도드라져 어색하지만 조선말기 민화에서 사용하던 주요 색상 중 하나로 이 화조화의 연대를 추정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기도 한다. <기타참조> "옛그림에 보인는 꽃과 새"‚ 순천대박물관‚ 2002. <참고문헌> "옛그림에 보인는 꽃과 새"‚ 순천대박물관‚ 200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