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문자도석도

추천0 조회수 2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문자도석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작가>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사대부나 문인들의 고사(故事)를 응용한 작품소재를 선택하였다. 상서로운 구름문 장식의 쟁반 위에 ‘부(富)자’ 화분은 재복을 기원하는 의미의 문자도(文字圖)의 형식을 빌려 묘사되고 있는 점이 흥미롭다. 이러한 주제는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내용으로 계세(戒世)를 위한 문자도의 목적에서 확대되어 상업을 통한 부의 축재가 이루어지던 당시의 사회상을 반영하는 듯하다. 매화꽃이 활짝 핀 화분을 받쳐든 동자들의 시선을 현재 인물들이 나아가는 방향이 아닌 정면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양분한 구성은 민화에서 주로 사용하는 정면 구도로‚ 전체적으로 균형과 안정감을 주고 있다. 또한 배경을 과감하게 삭제하여 원색에 가까운 강렬한 색채를 대비시키고 짙은 색으로 경계를 삼아 형상과 형상‚ 색과 색을 조화롭게 나타내 선묘(線描) 중심의 화법을 탈피하고 있다. 민화는 주로 주문자의 취향과 그림의 사용 목적에 맞추어 제작되었기 때문에 대개의 그림에서 민화작가들의 서명이나 낙관을 찾아보기 어려운 점을 감안할 때‚ 주문자의 낙관으로 추측되는 전각이 선명하게 찍혀 있는 점이 주목된다. 제작 전부터 주문자의 낙관 위치를 배려한 탓인지 화면 하단부 중앙에 안정감 있게 위치한 구첩전(九疊篆)의 전각은 정경선인의 상아 도장이라는 의미인 ‘정경선인아인(貞敬先人牙印)’이라 새겨져 있는데‚ 전각의 크기나 내용은 물론‚ 상아를 재료로 한 점은 당시 그림을 주문한 사람의 사회적?경제적 지위를 단편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기타참조> "강운명품선"‚ 순천대박물관‚ 2001. <참고문헌> "강운명품선"‚ 순천대박물관‚ 2001. "근역서화징"‚ 오세창‚ 시공사‚ 2001. "한국회화사"‚ 안휘준‚ 일지사‚ 1980. "한국회화의 전통"‚ 안휘준‚ 문예출판사‚1988.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