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사군자화훼10폭병풍

추천0 조회수 208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사군자화훼10폭병풍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작가> 양기훈(楊基薰)의 자는 치남(穉南)‚ 호 석연(石然)‚ 패상어인(?上漁人)‚ 삼강어인(三江漁人) 등이다. 평양에서 거주했으므로 대동강의 옛 이름인 ‘패수(?水)’에서 호를 따왔다. 양기훈은 특히 기러기(蘆雁) 그림으로 유명했으며 지금 전하는 작품도 노안도가 가장 많다. 노안도 이외에는 화조영모화‚ 사군자 등으로 구성된 병풍이 많으며‚ 산수화는 희귀할뿐더러 다른 화목(?目)에 비해 수준도 떨어지는 것을 보아 그의 장기(長技)가 아니었던 것 같다. 양기훈의 이력 중 주목되는 것 중 하나는 민충정공(민영환) 혈죽도(閔忠正公血竹圖) 목판(木板)의 밑그림을 1906년경 그린 것이다. 이 목판에는 권동수(權東壽‚ 1842-)의 서문과 남정철(南廷哲‚ 1840-1916) 찬문이 함께 새겨져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사군자화훼10폭병풍>은 양기훈의 만년작으로 그가 평생 즐겨 다루던 소재들을 제각기 능숙하고 생략적인 필치로 그려낸 것이다. 매란국죽(梅蘭菊竹)의 사군자와‚ 소나무‚ 모란‚ 파초‚ 오동‚ 석류‚ 갈대와 해오라기 등을 수묵 감필체(減筆?)로 그리고‚ 그림과 같은 필치의 행초서(行草書)로 간단한 화제를 곁들였다. 이처럼 영모화훼병풍을 빠르고 생동감 있는 필치로 묘사하는 것은 동갑 화가인 오원(吾園) 장승업(張承業‚ 1843-1897)의 전형적 특징으로 당시에 크게 유행하였다. 따라서 양기훈이 구사한 이런 화풍도 장승업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아주 높다. 이런 가능성은 양기훈의 장기인 노안도에 있어서도 장승업이 더 높은 수준을 보여주는 것으로도 지지된다. 한편 각 폭에는 양기훈이 그림에서와 같은 빠르고 생략적인 필치로 다음과 같은 화제를 써 놓았다. 제 1폭 ?소나무(松)? 그림자 요동치는 것이 천 척 길이의 용과 뱀 같고‚ 하늘에 울리는 소리는 풍우에 차갑게 흔들리는 것 같네 제 2폭 ?석죽(石竹)? (대나무)색깔은 저녁 늦게 서재에 스며들고‚ 그림자 지나가니 팔에 든 술통이 서늘하네 제 3폭 ?석란(石蘭)? 서쪽으로 원수와 상수의 끝없는 흐름을 바라보며‚ 붉은 싹 초록 잎 스스로 근심의 빛 띠었네. 왕손은 가고 난 후 소식이 없어‚ 비바람 부는 산중에는 나날이 가을이라네. 제 4폭 ?모란(牧丹)? 낙양에 꽃비 지나가자 봄빛은 일년 내 향기롭네 제 5폭 ?파초(芭蕉)? 한번 봉한 서찰로 무엇을 나눌 수 있을까? 전에 동풍을 빌어 몰래 열어 보았네. 제 6폭 ?오동(梧桐)? 진실로 군자의 마음이나‚ 초목의 정이 아닐까 두렵네 제 7폭 ?석류(石榴)? 반쯤 머금은 속에 반드시 맑은 얼음 같은 이빨 있으니‚ 홀연히 벼랑가에서 비단 주머니가 터졌네. 제 8폭 ?석국(石菊)? 한 송이 따서 읍하니‚ 도연명이 아니면 누가 이를 사랑할까? 제 9폭 ?해오라기(鷺)? 한 평생 가을 꿈이 많도다 제 10폭 ?매화(梅)? 강비는 홀로 있고 천산에 눈이 내렸네 위와 같은 화제 외외에 마지막 폭에는 “패호의 늙은 어부 석연 양기훈(?湖老漁石然楊基薰)”이라는 글씨와 ‘석연(石然)’ 주문방인‚ ‘양기훈인(楊基薰印)’ 백문방인이 찍혀있다. <기타참조> "강운 명품선"‚ 순천대박물관‚ 2001. "옛그림에 보이는 꽃과 새"‚ 순천대박물관‚ 2002. <참고문헌> "강운 명품선"‚ 순천대박물관‚ 2001. "옛그림에 보이는 꽃과 새"‚ 순천대박물관‚ 2002. "한국인물대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