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접도

추천0 조회수 5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접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작가> 남계우는 19세기의 선비 화가로서 특이하게도 채색의 꽃과 나비만을 그려 ‘남나비(南胡蝶)‘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였다. 그의 본관은 의령(宜寧)이며‚ 자는 일소(逸少)‚ 호는 일호(一 濠)이다. 정3품 도정(都正)이라는 높은 벼슬을 했으면서도 일반 선비화가들이 즐겨 그리는 문인화를 그리지 않고 화원들이 그리던 채색화를 택했다는 것은 그의 강한 개성을 짐작하게 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화접도대련(花蝶圖對聯)>과 <추초군접도(秋草群蝶圖)> <격선도(擊扇圖)> <군접도(群蝶圖)> 등 그가 그린 대표작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의 나비 그림은 곱고 화려한 채색과 정교함을 특징으로 하였다. 정확한 세필의 사실적인 묘사에 그의 뛰어난 관찰력과 묘사력이 잘 나타나 있다. ‘유리 그릇에 갖가지 모양의 나비를 모아두고 그 형상을 세밀히 연구하며 그렸다’는 일화는 그가 그린 그림의 섬세함을 더욱 뒷받침해주는 것이다. 화면 상단에 다음과 같은 화제가 있다. 麴塵何處不參至 국진화 어느 곳엔들 참여 못할까. 羨爾輕衫未化緇 경삼(輕衫)이 치의(緇衣)로 변하지 않음을 부러 워하노라 雪已盡時還舞艸 눈 다 녹은 뒤 도리어 춤추는 잔디 梅?開後忽新枝 매화 필 무렵 문득 새로운 나뭇가지 閑窓春暗來先見 한가한 창가 봄 어둘 녘에 와서 먼저 보고 午枕風?去不知 낮잠에 바람까지 맑아 떠날 줄을 모르네 底事?花石燈竊 지금 들꽃과 석등 훔쳐다가 寄人籬下畵?脂 사람들에게 부탁해 울타리 밑에서 연지를 찍어 볼까. <기타참조> "옛그림에 보이는 꽃과 새"‚ 순천대박물관‚ 2002. <참고문헌> "옛그림에 보이는 꽃과 새"‚ 순천대박물관‚ 200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