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수성도

추천0 조회수 39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수성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작가> 이당(以堂) 김은호(金殷鎬‚ 1892-1979)는 본관은 상산(商山‚상주)이나 인천에서 출생하였다. 1912년 서화미술회 화과(畵科)에 입학하여 조석진‚ 안중식에게 배웠다. 1918년 서화협회가 창립되자 정회원이 되었으며 1919년 3.1운동에 참가하여 옥고(?苦)를 치르기도 했다. 1920년 창덕궁 대조전에 벽화 <백학도(白鶴圖)>를 그렸으며‚ 이후 1928년 창덕궁 선원전의 순종‚ 태조‚ 세조 어진(御眞)을 모사하는 등 초상화가로서의 독보적인 위치를 다졌다. 1937년부터는 조선미술전람회 초대작가를 지냈고‚ 1945년 해방 후에는 국전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을 거치면서 국전을 주도하였다. 제자들이 후소회(後素會)를 조직하여 그의 화맥을 계승하였다. 그는 진주 촉석루의 <논개상>‚ 남원의 <춘향상>(1960)‚ <이충무공상>‚ <신사임당상> 등 역사인물의 초상화를 많이 그렸으며‚ 산수도나 고사인물화나 신선도도 많이 그렸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김은호는 초상화나 산수도 이외에도 고사인물화(故事人物?)나 신선도도 많이 그렸는데‚ 이들 중에는 병풍이 많다. 그의 이런 인물화는 스승 안중식과 조석진의 화풍을 계승한 것인데‚ 그 연원을 더 거슬러 올라가면 오원(吾園) 장승업(張承業‚ 1843-1897)에 이른다. 이 그림은 신선 중에서 수성(壽星)을 그린 것이다. 수성은 일명 남극성(南極星)으로도 불리며‚ 인간의 수명(壽命)을 관장한다고 믿어진다. 인물의 모습은 장승업 이래로 내려오는 선묘(線描)로 된 의습 표현에 진한 채색을 입혀 장식성을 가미하였다. 온화한 필치로 묘사된 소나무나 태점(苔點)을 섬세하게 찍은 지면(地面)의 표현에서 김은호의 특징을 잘 볼 수 있다. ?수성도?에는 ‘견수성(見壽星)’이라는 전서(篆書)로 된 제목과 “乙卯新正 以堂寫”라는 관서가 있다. <기타참조> "강운 명품선"‚ 순천대박물관‚ 2001. <참고문헌> "강운 명품선"‚ 순천대박물관‚ 2001. "한국회화사"‚ 안휘준‚ 일지사‚ 1980. "한국회화의 전통"‚ 안휘준‚ 문예출판사‚1988.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