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묵죽도10폭병풍

추천0 조회수 185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묵죽도10폭병풍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작가> 김규진의 본관은 남평(南平)이며‚ 평남 중화 출생이다. 자는 용삼(容三)이며‚ 호는 해강(涇岡)‚ 백운거사(白雲居士)‚ 취옹(醉翁)‚ 만이천봉주인(萬二千峯主人)‚ 석전경수(石田耕?)‚ 무이옹(無己翁)‚ 청허재주인(?虛齋主人)‚ 삼각산인(三角山人)‚ 포옹(圃翁)‚ 동교(東橋) 등 10개가 있다. 벼슬은 시종관(侍從官)을 지냈다. 8세부터 장인 小南 이희수(李喜秀‚ 1836-1909)에게 글씨를 배우고‚ 18세 때 청(?)에서 유학하여 서화명적(書畵名蹟)을 연구하였다. 전?예?해?행?초서(篆?隸?楷?行?草書)에 모두 묘경을 이루어‚ 영친왕 이은(英親? 李垠)에게 서법(書法)을 가르치기도 하였다. 김규진은 또한 『육체필론(六體筆論)』‚『서법진결(書法眞訣)』과 같은 서법관련 저서를 남겼다. 또한 안중식(安仲植)?조석진(趙錫晋)과 함께 서화협회를 창설하여 후진을 양성하는 한편‚ 경향 각지에서 서화전을 개최하여 서화 예술의 계몽에 진력하는 등 한국 근대화단에 지대한 영향력을 준 대표적 인물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그림은 해강 묵죽화 중 내용과 형식면에서 수작으로 꼽을 만하다. 草書의 유려한 필적으로 적어나간 제시에서 해강은 대나무를 ‘군자(此君)’로서 의인화하여 강직한 忠臣의 높은 절개와 高孤한 烈士의 애국심에 비유하여 묘사하였다. 전체 10폭으로 구성된 이 병풍은 石竹을 그린 제3폭과 10폭을 제외한 나머지 8폭이 모두 風竹을 소재로 하였다. 이는 화제에서도 밝히고 있듯 구한말의 암울했던 시대상황 속에서도 꿋꿋하게 민족적 자긍심을 지켜냈던 애국열사들과 충신들의 절개와 지조를 세차게 불어대는 세파에도 꺾이지 않고 당당히 맞선 대나무에 비유하여 그린 것이다. 각 폭의 전체적 구도는 석죽 두 폭과 대나무가 뿌리내린 지면을 간략하게 표현한 제4폭을 제외하면 대개 사선으로 기울어진 대나무의 줄기와 잎만을 묘사하였다. 석죽의 바위 표현과 지면의 묘사는 농묵과 담묵을 혼합하여 굵게 그어 내린 후‚ 부분적인 태점을 이용하여 그 질감을 표현하였다. 담묵을 약간 섞어 농담과 굵기를 표현한 대나무 줄기는 길고 가늘어 위태로워 보이지만‚ 대나무 특유의 강직함을 유감없이 드러냈다. 이에 비해 농묵으로 묘사되었지만‚ 세련된 갈필로 까칠하게 갈라진 갈필의 댓잎 묘사는 풍죽의 고절한 분위기를 고조시킨다. 이러한 묘사력은 해강의 서법에 바탕을 둔 것으로 필력(筆力)의 완급조절을 통해 그림은 바람의 방향으로 쏠려 날리는 댓잎을 몰골법을 사용하여 속도감과 절제력 있게 표현하였다. 각 폭의 화제 말미에는 ‘金圭鎭印’과 ‘涇岡’이라는 )과 명(明)의 모든 이들을 벗어나는 것 같으니”라 하여 해강 난죽 경지가 중국의 묵법을 벗어나 스스로 신묘함을 얻었음을 찬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인물대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한국회화사"‚ 안휘준‚ 1980. "한국회화의 전통"‚ 안휘준‚ 1988. 백문(白文)과 주문방인(朱文方印)이 찍혀 있다. 해강의 난죽(蘭竹)은 그가 그린 어느 회화 장르보다 절묘하였다. 그의 대표 저서 《해강난죽보(涇岡蘭竹譜)》는 印本으로 전하는데 후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해강의 난죽화보에는 당세를 풍미하던 일류 문장가들이 모두 작시하여 이것을 찬미하였는데‚ 운양 김윤식(雲養 金允植)은 “해강의 깊고 끊어짐 없이 이어지는 필은 혼이 있고‚ 운연은 신묘함을 일으킨다. 사람의 눈에 아첨하는 아름다운 미인을 그리지 않고‚ 빈 골짜기의 봄을 한가지 꺾어 담박하게 쓸어낸다.(訥老?源筆有神‚ 雲煙起處自描新‚ 却?桃李媚人眼‚ ?掃一枝空谷春)”이라 하였고‚ 위암 장지연(韋庵 張志?)은 “의취가 있는 묵과 필은 입신의 묘를 얻었고‚ 원(元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