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충제선생문집 례

추천0 조회수 4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충제선생문집 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충재 권발(沖齋 權撥1478∼1548)의 시문집이다. <역사> 전후 두 차례에 걸쳐 간행되었는데 이 책는 그 후간본이다. 간기는 없고 다만 1705년(숙종 31)으로 된 「중본중간지」와 1752년(영조 28)으로 된 「충재선생문집중편서」가 있을 뿐이다. 그리고 초간본 때의 서문으로 생각되는 글 2편이 책머리에 실려 있는데‚ 하나는 1671년(顯宗 12) 홍여하의 글이고 또 하나는 1681년 허목의 글이다. 「중본중간지」와 「중편서」에 따르면 이 책을 중간하게 된 동기는 초간 때 누락된 문장이 너무 많고 또 불필요한 글도 더러 있어 이것을 다시 정리하기도 할 겸 중간을 하게 된 것이라 한다. 초간 때의 허목의 서문을 보면‚ 여기 수록된 글은 다만 시 16수 간독 2편‚ 계사 1편‚ 제문 1편‚ 묘문 1편‚ 대(對) 1편 등 불과 얼마 되지 않는 분량을 수록했다고 기록이 돼 있는데‚ 중간본에는 이보다 약 3배에 해당하는 많은 글들이 수록돼 있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권발의 자는 중허(仲虛)‚ 호는 충재로 1506년(중종 1) 진사가 되고 장령 도승지 등을 거쳐 기묘사화 때 삼척부사로 이에 연좌되었다. 15년 동안 전리에 물러나 있다가 뒤에 복직‚ 다시 한성판윤 등을 역임한 뒤 우찬성으로 원상을 역임한 중신이었다. 그러나 다시 양재역벽서사건으로 태천과 삭주 등지로 유배된 끝에 끝내 배소에서 죽었으며 선조 때 신원‚ 좌의정 추증과 함께 익호까지 내린 문신으로 안동 삼계서원에 제향되어 있다. 특히 그가 종계변무사로 명나라에 다녀와 지춘추관사 및 세자우빈객 등을 역임한 사실을 보면‚ 그의 학식과 덕망을 짐작 할 수 있다. 위 홍여하의 서문에 따르면 `그 문은 기격이 웅혼하고 사구가 간엄하여 종종 옛 작품의 맛이 있다` 하였다. 책머리에 홍여하‚ 허목‚ 권두인‚ 이광정의 서(序)와 세계도가 있다. 1권은 시(?河縣次朴先生孝修韻 등 44수)와 계사(請爲魯山君燕山君立後啓‚ 論救三臣啓‚ 請?鄭莫介堂上啓등 5편)‚ 서(書)(與朴進士·移尹元衡 등 6편)‚ 제문(祭文忠公圃隱鄭先生故里碑前文 1편). 묘갈과 묘표(淡人安東權氏墓碣 등 2편) 그리고 대책(殿試善?善終策 1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2권은 잡저로 성리군서고의(?理群書考疑)와 주자대전고의(朱子?全考疑)와 제영양일여권면(題永陽日餘卷面) 등 4편이다. 3권에서 6권은 中宗 34년 윤 7월 17이후 동 12월 16일 까지 작자가 변무사로 명나라에 갔다 오는 동안의 일기를 적은 글이다. 각권의 일기를 쓴 기간을 보면 3권은 1507년(중종 2) 12.1.∼1508.12.26이고‚ 4권의 일기는 1509년 1.1.∼8. 14까지 이며‚ 5권의 일기는 `1509.10.1-1510.3.30`까지 이고 6권은 `1518.5.15∼11.16` 기간동안 일기를 썼다. 7권은 조천록( 遺墨‚ 작자의 서한) 3편을 판각한 것으로 매우 활달하고 氣品있는 글씨이다. 8권 9권은 부록으로 작자의 행장(이황 익상)‚ 신도비명(정경세찬)‚ 우신도비명(박순 찬)‚ 익의(윤근수 행)‚ 사액제문(박안제 행)‚ 봉안제문‚ 상향축문(황섬)‚ 제원사문(정탁)‚ 제묘문(정구‚ 권호문)‚ 삼계서원묘자상량문‚ 청액소(경상도안동유생 등)‚ 언행무록(음애일록‚ 정암집‚ 해동야언‚ 퇴계집‚ 을사록‚ 상촌집‚ 율곡집 등에서 작자의 언행을 말한 귀절을 수집하고 채록한 것) 등이 수록돼 있다. 그 밖에 이 책의 부록에는 만장(퇴계와 농암 등 명인들의 것)과 「을사화적」이 있는데 이글은 을사사화의 전말과 작자와의 관계를 기술한 것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