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팔대가 45

추천0 조회수 8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팔대가 45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왕안석(?安石)에 관한 책.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왕안석(?安石)은 송대의 개혁정치가로 본적은 무주(撫州) 임천(臨川)이며 자는 개보(介甫)이다. 1042년(경력 2) 진사 출신으로 강남지역의 지방관으로 근무하였으며 이재(理財)의 능력을 인정받았다. 때마침 정치의 일대 쇄신과 개혁을 갈망한 야심적 황제 신종(神宗)에 의해 발탁되어 역사적으로 유명한 파격적인 개혁정책을 실시하게 되었다. 그는 1069년(熙寧 2) 참지정사(參知政事)에 임명되어 국정전반을 관장하기에 이르자 한기(韓琦)‚ 사마광(司馬光) 등 구법당(舊法黨) 인물들을 축출하고 이재에 능한 강남출신 신진관료들을 대거 발탁 기용하여 신법(新法)‚ 즉 농업생산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종래 가뭄과 홍수 등으로 황폐해진 전토의 복구와 어전법(田法) 등에 의한 새로운 경작지의 조성 및 하천의 개수(開修) 등을 통한 조운(漕運)의 진흥 등을 골자로 한 농전수리(農田水利)정책‚ 농민에 대한 저리의 금융정책인 청묘법(靑苗法)‚ 도시의 중소상인들을 대상으로 한 저리의 금융정책인 시역법(市易法)‚ 차역(差役) 부담 대신 재력에 따라 차등적으로 면역전(免役錢)을 징수하게 한 모역법(募役法)‚ 모병제도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당(唐)의 부병제(府兵制) 하의 국민개병제 원칙을 모범으로 한 보갑법(保甲法)과 보마법(保馬法)을 실시하였다. 왕안석의 신법은 국가재정의 확보와 국가행정의 효율성 증대 등에서 일정한 실적을 거두었으나 원래의 취지 중의 하나인 중소농민과 중소상인의 구제라는 면에서는 결과적으로 세역의 증대‚ 화폐경제의 강요 등으로 인해 후진지대에서는 오히려 영세농민층의 몰락을 가속화시킨 문제점도 있었으며‚ 또한 이는 반대파인 구법당이 재집권하게 되는 주된 명분이 되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