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당송시초

추천0 조회수 6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당송시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중국 당송시대의 시를 모아 엮은 책. <개설> 중국 당송시대의 한시들을 모아서 엮은 책으로 시문집의 일종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당나라 때는 중국 서정시의 최성기이고‚ 그 시는 중국문학뿐만 아니라‚ 인류의 문학에도 위대한 유산으로 되어 있다. 당시의 원류(源?)를 이루는 것은 위(魏)‚ 진(晉) 이후‚ 귀족 사회에서 발달되어 온 육조(六朝)의 시지만‚ 그것이 이 시대에 원숙한 예술로서 결실을 보게 된 밑바닥에는 일어서기 시작한 상공업자나 농민들의 굳센 생활력과 이민족(異民族)과의 접촉으로 인한 세계의 확대가 있었다. 육조의 시가 인간을 불안정한 것으로 보고‚ 인생의 절망을 주로 노래한 데 대하여‚ 당나라의 시인들이 이 절망을 극복하고 적극적인 인생태도를 시의 골격으로 삼은 것은 시대의 흐름과 관계가 있을 것이다. 당시는 일반적으로 초당(初唐:거의 7세기)‚ 성당(盛唐:대략 8세기 전반)‚ 중당(中唐:8세기 후반~9세기 전반)‚ 만당(晩唐:9세기 후반~10세기 초기)의 4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초당의 대표적 시인은 사걸(四傑)로 불린 왕발(?勃)‚ 양형(楊炯)‚ 노조린(盧照)‚ 낙빈왕(駱賓?) 등이 있고‚ 성당은 시문학이 융성한 때로 현종황제의 치세에 해당되며 성당 전반의 이백(李白)과 후반의 두보(杜甫)가 있다. 중당(中唐)의 시인으로는 한유(韓愈)와 백거이(白居易)를 들 수 있으며‚ 만당을 대표하는 시인은 이상은(李商隱)‚ 두목(杜牧)‚ 온정균(溫庭筠) 등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