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간찰

추천0 조회수 4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간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간지(簡紙)에 쓴 편지이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간찰은 소식을 서로 알리거나 용건을 적어 보내는 글이다. 서간문의 구성요건은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 등 세 가지며‚ 따라서 보통의 문장에 비교해서 말하기 대신에 쓰는 글‚ 특정한 독자에 대한 위치관계에 의해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특정형식을 낳게 되는 것이다. 명칭은 간찰(簡札)‚ 서간(書簡)‚ 서자(書字)‚ 서한(書翰)‚ 척독(尺牘)‚ 편저(片楮)‚ 소식(??)‚ 안신(雁信) 등 한자어로 된 이칭이 무수히 많은데‚ 우리 고유말로는 우(유)무‚ 글월‚ 고목(告目)‚ 기별(寄別)‚ 편지(片紙‚ 便紙) 등으로 쓰였다. 종류는 표기문자에 의해서 순한문 또는 이두문을 섞어서 쓰는 쓴 ‘언간(諺簡)’으로 구분된다. 내용에 의해서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구분되며‚ 용도에 의해서 생활수단인 ‘실용서간(實用書簡)’과 문학수단인 ‘문예서간(文藝書簡)’으로 구분된다. 현존하는 한문서간으로 가장 오래된 것은 《동문선》에 수록된 신라의 녹진(祿眞)이 쓴 <상각간김충공서 上角干金忠?書> 1편과 최치원(崔致遠)이 당나라에서 쓴 <답절서주사공서 答?西周司空書>등 32편이 있고‚ 그 뒤로도 고려조와 조선조의 명현들의 서간이 많은 문헌과 그들의 문집 속에 많이 전하고 있어서 그 문헌적 가치는 다대하다. 언간으로서는 일반문헌과 사서(史書)를 통해서 보면 세종 당시부터 궁중과 민간을 불문하고 정치와 생활상에 많이 실용되었으며‚ 현존하는 실증자료로서는 정철(鄭澈)과 그의 어머니 안씨(安氏) 사이에 왕래한 몇 편의 필적이 가장 오래된 것이다. 본 박물관에 소장된 이 편지는 일본에서 시현애미(김계한의 며느리)가 한국의 김계한(金啓漢)에게 보낸 편지이다. 시부모에게 안부를 전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작성 연 월 일이 적혀있지 않고 발신인(發信人)과 수신인(受信人)을 알 수 없다. 내용은 시문(詩文)의 초고를 잡은 원고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