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문경읍 평천리(달목이) 가마터1 도자기편

추천0 조회수 7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문경읍 평천리(달목이) 가마터1 도자기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문경시 문경읍 평천리 가마터에서 발견된 도자기편 <위치와 유적 입지> 문경읍에서 동로 방향으로 10㎞ 정도 올라가면 갈평리가 나온다. 갈평리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들어가면 용흥초등학교가 나오며 좌측으로 100m정도 가면 평천리 들어가는 입구 푯말이 나온다. 이 길을 따라 2㎞ 정도 들어가면 다시 갈림길이 나오는데 똑바로 가면 주흘산 밑자락이 나오고 우측으로 가면 가마터가 있는 달목이 동네가 나온다. 갈림길에서 1.5㎞ 정도 올라가면 좌측에 사과 창고가 위치하고 주위는 대부분 사과밭이다. 가마터로 추정되는 곳은 사과 창고로부터 과수원을 가로질러 우측 밭까지 이어진다. 도편과 가마내부였던 흔적이 밭둑과 밭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다. 수습 유물로는 접시류‚ 종지‚ 사발‚ 청화백자 등이 채집되고 있다. 전체적으로 굽의 형태와 그릇의 형태를 볼 때 고려청자의 형태를 띠고 있다. 「평천리 가마터1」 가마터는 동네 입구에서 달목이 동네까지 1.5㎞ 올라오면 월항이라는 동네가 나오는데 그 동네에서 걸어서 20분 정도 올라오면 마지막 밭이 나온다. 가마터는 그 밭 가운데에 위치한다. 올라오는 길은 상당한 오르막이며 좌측으로는 낭떠러지가 있고 우측으로는 대부분 과수원이다. 산이 대부분 화강암 지역이라 크고 작은 돌들이 산재해 있다. 가마터는 현재 밭으로 일궈져 있으며 가마는 두 개가 있었다고 한다. 아직도 밭에는 도편들과 가마 내부의 흔적들이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으며 전형적인 망뎅이가마였던 것 같다. 밭 가운데 가마자리는 흙 색깔이 주변과 다르다. 수습 유물로는 사발대접‚ 접시‚ 종지 등의 유물들이 출토되고 있으나 연대는 그렇게 오래되어 보이지 않는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① 백자 대접 유약색은 밝은 백색을 띠고 있고 내부에 굵은 모래 흔적으로 보아 그릇 내부에 다른 기물(器物)이 놓여져 소성(燒成)되었으며 지질박이나 나무칼을 사용했다. 굽의 넓이는 그릇크기에 비해서 좀 넓은 편이며 투박해 보인다. 구연부는 얇아 보이며 밑으로 내려올수록 점차 두꺼워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소성(燒成) 온도는 적당하였다. ② 백자 대접 유약색은 밝은 백색을 띠고 있으며 지질박을 사용하여 기물(器物)을 성형하였다. 그릇 내부에 모래 흔적으로 보아 다른 기물이 놓여져 소성(燒成)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께는 두꺼운 편이며 무게 역시 비교적 무겁다. 사발대접 중에서도 상당히 큰 편에 속하며 굽 또한 두꺼우면서 투박하다. ③ 백자 대접?접시 본 기물은 접시와 대접이 붙어 있는 상태이다. 유색은 밝은 백색을 띠고 있으며 지질박이나 나무칼을 이용하여 성형하였으며 접시는 전접시 형태를 하고 있으며 위에 기물(器物)은 약간 오목한 형태를 하고 있다. 유약은 적당한 온도에서 대체적으로 잘 녹았으며 위의 그릇 내부에 작은 기물(器物)이 놓여져 소성(燒成)된 흔적이 있다. 위에 기물은 붙어서 굽을 잘 볼 수 없지만 접시의 굽은 대체적으로 잘 깎았다. ④ 백자 종지 유약색은 회백색이며 나무칼을 사용하여 성형하였다. 그릇은 좀 무거운 편이며 기물(器物)이 작은데 비해서 정교하게 굽을 깎았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