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쌀독

추천0 조회수 5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쌀독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쌀독은 뒤주와 같이 곡식 저장용 용기로써 대체로 광(곡간)에 놓고 사용하였다. <개설> 삼국시대부터 만든 옹기는 세계에서 한민족만이가지는 독특한 음식 저장 용기이다.그 중 쌀독은 주식 ·부식물의 저장용구 등으로 사용하였다. <역사> 처음에는 곡물을 저장하고 음식을 담아 먹고 보관하는 데는 목기나 소쿠리 등을 썼지만 흙으로 그릇을 빚어 불에서 단단하게 구워 내는 방법을 알아낸 뒤 우리에게 중요한 생활용품이 되었다. 질그릇은 고려에서 조선조로 이행되면서 생활이 다양해지고 풍요롭게 됨에 따라 특수한 용도에 쓰이는 특수용기로 발전하였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토기는 다공질(太孔質)로 숨을 쉬며 아주 큰 것도 만들기가 쉽고 자기보다 가벼우므로 다루기가 쉽다. 그뿐 아니라 열에 강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존재였다. 토기는 치밀질 석기계통과 치밀하지 않은 연질토기(질그릇)가 병행하였다. 이 두 가지 가운데서 치밀질 계통은 일부 자기로 발전‚ 이행되었고 또 일부가 오지그릇으로 이행되었고 질토기는 질그릇이 되었다. 오지그릇은 질 좋은 진흙을 파다가 어디 널찍한 곳에 부려 놓고 이기고 밟고 메로 때려 다지고 큰 덩어리를 만들어 다시 깨끼질을 한다. 그리하여 태토안에 가는 모래가 섞이게 되어 진흙끼리 서로 엉켜서 붙게 되는 역할도 하고 바람도 통하는 구실을 한다. 오지그릇 가운데에서도 특히 독이나 항아리는 음식물을 오래 저장해야 되므로 바람이 통하고 숨을 쉬게 하여 그 속의 저장물이 쉬거나 썩는 것을 막아준다. 쌀독은 뒤주와 같이 곡식 저장용 용기로써 대체로 광(곡간)에 놓고 사용하였다. 그 크기도 쌀 5-6가마가 들어가는 초대형에서부터 두어가마 들이까지 다양하며 옹기에 비해 수분의 흡수성이 낮은 질독(지사독)도 많이 사용되었다. 옹기는 통기성이나 흡수성 등이 뛰어나기 때문에 곡식을 보다 오랫동안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요즈음에는 통기성이나 흡수성 등이 뛰어난 곡식을 보다 오랫동안 저장할 수 있는 쌀독을 구하기 어렵다. 일제강점기 이후 나타난 항아리는 매용제(융제)를 사용되었는데 오지그릇에 입혀 구우면 붉은 색이 나고 표면이 유리알 같이 매끈매끈하고 반짝반짝 빛이 난다. 이는 납을 주성분으로 한 화공 약품인 광명단이라는 것을 매용제로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사회 문화적 의의> 옹기가 언제부터 보편적 생활용기로 쓰였는지는 명확하지는 않지만 우리 전통적 생활도구와 방식 속에서 우리네 삶과 결코 떼어서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한 위치와 역할을 담당하여 왔다. 식생활과 생업 그리고 민간신앙 등 생활전반에 걸쳐 쓰이지 않은 게 없을 정도로 그 쓰임새가 다양하였고 거기에 쓰임새에 따라 모두 달랐지만 생활약식의 변화에 따라 자연히 거의 찾아 볼 수가 없을 정도가 되었다. <유사 관련 용어> 장항‚ 장항아리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