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방아고

추천0 조회수 128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방아고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절구확 속에 든 물건을 내리찧는 몽둥이. <개설> 발로 디뎌 찧는 방아로 확이라는 구멍에 곡식을 놓고 방아고로 곡식에 힘을 가해서 곡식을 찧는다. <역사> 고구려시대의 건물터로 밝혀진 경상북도 문경시 상초리의 전조령원지(傳鳥嶺院址)에서 부엌의 한쪽 벽밖에 설치되었던 디딜방아의 흔적이 발굴된 것으로 보아 고구려시대부터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방아고는 방아공이라고도 하며‚ 확속에 있는 물건을 찧거나 빻을 때 사용한다. 힘을 주어 방아고를 내리치면‚ 확속에 있는 물건은 충격이 가해져서 가루가 되거나 반죽이 된다. 이러한 방아는 곡물을 쓿어 겉껍질을 벗기거나 빻아서 가루를 내는 데 쓰는 연장으로 나무나 돌로 만든 것이 많으나 흙이나 도자기로 만든 것도 있다. 방아는 갈돌에서 비롯되었는데‚ 갈돌에서부터 방아까지의 변천을 살펴보면‚ 갈돌에서 돌확‚ 맷돌‚ 매통‚ 토매‚ 연자매로 발전하였고‚ 갈돌에서 절구‚ 디딜방아‚ 물방아‚ 물레방아 따위로 발전하기도 하였다. 앞의 경우는 아래짝 위에 놓인 물질을 위짝을 돌려서 으깨듯 부수는 연장이고‚ 뒤의 경우는 방아고로 내리쳐서 찧는 연장이다. 갈돌은 윗부분이 평평한 돌판에 둥근 돌(갈개)을 한 손에 쥐고 으깨듯 문질러 쓰는 연장이었으나‚ 뒤에는 안장처럼 앞뒤가 들리고 갈개도 방망이모양으로 바뀌어서 국수 밀듯 두 손으로 밀어 쓰게 되었다. 돌확은 오늘날에도 농가에서 보리를 대끼거나 고추 따위의 양념을 빻는 데 많이 쓴다. 갈판은 자연석을 방아확처럼 우묵하게 파거나 평평한 바닥에 전이 달리도록 만들기도 한다. 전라남도지방에는 벽과 바닥을 우툴두툴하게 구운 오지확도 있다. 갈개는 흔히 손 안에 드는 둥근 돌을 쓰나 도제(陶製) 확에는 흙으로 구운 것을 사용한다. 디딜방아는 한 사람이 딛고 한 사람이 께끼는 것과 두 사람이 딛고 한 사람이 께끼는 두가지 유형이 있다. 두 사람이 딛는 방아의 채는 길며 뒷뿌리가 제비꼬리처럼 좌우로 갈라졌고‚ 한 사람이 딛는 방아의 채는 짧고 가늘다. 채의 앞머리에는 공이가 달려 있어서 돌로 만든 확 속의 낟알을 벗기는 구실을 한다. 즉‚ 방아채를 디뎠다 얼른 놓는 서슬에 내려쳐진 공이의 힘으로 왕겨를 벗기게 되는 것으로‚ 토매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디딜방아는 곡식을 찧는 이외에 떡을 찧거나‚ 고추를 빻기도 하며‚ 메주콩을 이기는 등 요긴한 것이어서 부엌 가깝게 설치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