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교의

추천0 조회수 39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교의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신주를 모시는 의자. 제사를 지낼 때 신주나 지방을 모시는 의자로 병풍과 제사상의 중간에 위치한다. 교의의 높이가 높은 것은 산사람들이 조상을 우러러 보는데에서 기인한다. <역사> 주자가례가 들어와 일생의례가 정착된 후에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조선초?중기 이후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교의에 올리는 신주는 죽은 사람의 위를 베푸는 나무패로 <오경이의>에 의하면 신주는 신상을 뜻한다고 하여‚ “상주가 장사를 모시고 나서 그 마음을 의탁할 곳이 없어 우제(虞祭:매장한 다음 반혼하여 처음으로 신주를 모시고 지내는 제사)때에 신주를 세워서 모신다. 오로지 천자와 제후만이 신주를 모시고 경대부(卿??)는 모시지 않는다.”고 하였다. 또한 <춘추공양전>에는 “대부는 속백(束帛)으로 신을 의지하도록 하고‚ 선비는 띠풀을 엮어 초빈(草殯)한다.”고 하였다. 이것으로 보아 신주는 중국에서 왕권이 확립된 시기에 만들어졌다가‚ 후세에 내려오면서 일반에 보편화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사례편람이 만들어지면서 신주가 보편화된 이후에 신분을 가리지 않고 모시게 되었다. <가례>에 의하면‚ 신주를 만들어 죽은 사람의 혼을 의탁시키기까지 몇 단계를 거쳐 각각 다른 물체로 혼을 대신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첫번째 단계로 초혼(招魂)에 의하여 죽은 사람의 웃옷에 실려 시신에 의탁한다. 두번째 단계는 습(襲:목욕) 후에 혼백(魂帛)을 접어서 의탁시키며 동시에 명정(銘旌)을 세운다. 마지막 단계로 시신을 매장한 다음 신주를 만들며‚ 혼이 여기에 깃든 것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혼백은 빈소에 모시다가 대상(?祥)이 지난 뒤 태워버리며‚ 신주는 그 4대손이 모두 죽을 때까지 사당에 모시고 지내다가 산소에 묻는다. <사회문화적 의의> 교의의 역할은 신주를 모시는 의자인데‚ 신주는 조상의 영혼을 대신하기 때문에 매우 소중히 여겼다. 이에 따라 교의 등의 제구도 소중하게 보관하여 다루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