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사발

추천0 조회수 3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사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사기로 만든 그릇. <개설> 사기로 만든 그릇을 사발이라고 하는데‚ 백자사발은 백자로 만든 사기그릇을 말한다. <역사> 빗살무늬 토기에서 대접이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고대시대부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백자는 신라말기부터 18세기 이전의 기록에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것으로 보아 18세기 이후에 만들어져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발은 바루라고 하여 불교 사찰에서 사용하는 독특한 식기를 말한다. 발은 범어의 음사인 발다라(鉢太羅)의 약칭으로‚ 번역하면 응기(應器) 또는 응량기(應量器)라고도 한다. 즉‚ 부처님과 그 제자가 지니는 식기로서‚ 색과 재질에 대하여는 여러 가지로 언급되고 있다. 사발은 사기로 만든 발을 의미하며‚ 철로 만든 발을 철발‚ 나무로 만든 발을 목발‚ 기와로 만든 발을 와발이라고 한다. 백자는 크게 순백자‚ 청화백자‚ 철회백자‚ 진사백자 등으로 나뉘어 진다. 순백자는 다른 빛깔로 장식하지 않으나‚ 형태 자체에 변화를 주며 부분적으로 장식물을 첨가하거나 혹은 투각(透刻)수법으로 무늬를 표현하는 수가 있으며‚ 표현한 종류에 따라 소문백자(素文白瓷)‚ 양각백자(陽刻白瓷)‚ 음각백자(陰刻白瓷)‚ 투각백자(透刻白瓷)‚ 상형백자(象形白瓷)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청화백자는 백토로 기형(器型)을 만들고 그 위에 회청(回靑) 또는 토청(土靑)이라 불리는 코발트 안료로 무늬를 그린 다음 그 위에 순백의 유약을 씌워서 맑고 고운 푸른색의 무늬가 생기게 만든 자기이다. 청화백자에 그리는 무늬는 시대 또는 그릇의 종류에 따라 각양 각색의 그림이 그려졌으며 중기 이후부터는 매우 복잡해져 여러 식물 동물 산수(山水) 십장생 문자 등을 복합적으로 그려넣었다. 철회백자(鐵繪白瓷)는 백토로 그릇을 만들어 낮은 온도에서 초벌구이를 해내고 그릇 표면에 산화철안료(酸化鐵顔料)로 무늬를 그리고 그 위에 백색 유약을 입혀 번조한 것으로 백자에 다갈색‚ 흑갈색 계통의 무늬가 나타난 자기이다. 진사백자(辰砂白瓷)는 도자기 바탕에 산화동(酸化銅:辰砂) 채료(彩料)로 그림을 그리거나 칠한 뒤 백자유약을 입혀서 구워내면‚ 산화동 채료(진사)가 붉은색으로 발색되는 자기이다. 조선시대에는 이러한 사기그릇을 주점사기(朱點沙器)‚ 진홍사기(眞紅沙器)라고도 불렀으며 진사백자라는 명칭은 20세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