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사발

추천0 조회수 2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사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사기로 만든 그릇. <개설> 사발은 아래는 좁고 위는 넓게 만들어 국이나 밥을 담는데 쓰이는 사기 그릇을 말한다. <역사> 사찰에서 사용된 그릇으로 인도에서 전해왔을 가능성이 많다. 또한 사발은 불교의 전래와 함께 전파되었을 것으로 보이므로 삼국시대부터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발은 바루라고 하여 불교 사찰에서 사용하는 독특한 식기를 말한다. 발은 범어의 음사인 발다라(鉢太羅)의 약칭으로‚ 번역하면 응기(應器) 또는 응량기(應量器)라고도 한다. 즉‚ 부처님과 그 제자가 지니는 식기로서‚ 색과 재질에 대하여는 여러 가지로 언급되고 있다. 사발은 사기로 만든 발을 의미하며‚ 철로 만든 발을 철발‚ 나무로 만든 발을 목발‚ 기와로 만든 발을 와발이라고 한다. 사발은 도토?장석?규석?백토 등을 원료로 하여 만든다. 사발의 어원은 몽골어의 사바(Saba‚ 그릇)에서 비롯되었으며 일본에서는 사하치라고 한다. 한자어로 ‘沙鉢(사발)’이라고 적기 때문에 단순히 한자어로 생각하기 쉬우나 중국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낱말이다. 그러므로 이 낱말은 순 우리말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는 우리나라에서 만들어낸 한자어일 수도 있다. 발은 용량에 따라 상발(上鉢)?중발(中鉢)?하발(下鉢) 등으로 나뉘는데‚ 상발은 중발보다 크고‚ 중발은 하발보다 크다. 사발이라고 하면 보통 상발‚ 중발‚ 하발을 통칭해서 이르는 말이다. 사발에는 밥‚ 국 이외에 차(茶)를 담기도 하는데 차를 담는 사발을 찻사발이라고 한다. <기타 참고> 문경에는 아직 사기를 만드는 가마와 사기장이 있는데‚ 문경요(천한봉)‚ 별암요(유태근)‚ 주흘요(이정환)‚ 영남요(김정옥)‚ 조선요(김영식)‚ 뇌암요(김성기)‚ 관음요(김복만)‚ 현암요(오순택)‚ 부광요(설영진)‚ 황담요(김억주)‚ 묵심요(이학천)‚ 현암요(오순택)‚ 한솔도예(오정택) 등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