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다듬이 방망이

추천0 조회수 42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다듬이 방망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다듬이질을 할 때 사용하는 방망이. <개설> 세탁된 옷감을 방망이로 두들겨 다듬는 일을 마듬이질이라고 하며‚ 이때 사용하는 방망이를 가리켜 다듬이방망이라고 한다. <역사> 19세기의 <규합총서>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17에서?18세기 경부터 사용되었을 것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한자어로는 ‘도침(棘砧)’이라고 하는데‚ 이는 19세기 초의 <규합총서>에 도침법이라 하여 옷감의 종류나 색에 따른 다듬이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규합총서>에 기록된 내용을 살펴보면 “비단에는 대왐풀을 먹이는데‚ 특히 쪽빛에는 이것으로 먹여야만 빛이 난다. 진홍색은 대왐풀과 아교풀을 섞어 먹인 다음 밟아서 살이 오르고 물기가 거의 마른 뒤 홍두깨에 감아 다듬는다. 무명과 모시는 잇꽃 담갔던 진한 누런 물을 조금 넣고‚ 오미자물에 풀을 섞어 개어 먹여야 푸른 빛이 나지 않는데‚ 이때 풀을 너무 세게 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자주색은 풀을 묽게 개어 먹인 뒤 부채질을 하여 약간 마르거든 힘껏 밟아 홍두깨에 감아 밀어가며 밟아 다듬는다. 보라색은 생토란을 갈아 그 즙을 먹여 다듬고 아청색은 아교풀을 먹인다. 흰색 명주는 달걀 흰자를 녹말풀에 섞어 쓴다. 무명에는 백면가루를 섞어 먹이면 풀이 세면서도 보드랍고 윤이 나며‚ 모시는 활석이나 녹말을 먹여 다듬으면 윤이 난다.”고 하였다. 우리나라의 옷은 평면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세탁을 할 때마다 바느질한 모든 솔기를 뜯어 빨고 새로 옷을 만들어 입었다. 그래서 풀을 먹여 새 옷감과 같이 올이 바르고 윤기 있게 손질하는 다듬이질이 발달하게 되었다고 추정한다. 가족의 옷 손질과 바느질 솜씨는 그 집 주부의 안목을 표현하는 일이었기에‚ 주부는 부지런히 가족의 옷을 정갈하게 빨고 새롭게 물들여 체형에 맞게 다시 짓거나 계절의 변화에 조화되게 재구성하였다. 다듬이질의 방법은 풀기가 마르기 전 비틀린 올을 바로 펴서 밟아 홍두깨에 말아서 다듬거나 다듬잇돌에 놓아 다듬어 홍두깨에 감아 다듬이질하였다. 이때 사용되는 도구로는 단단한 나무로 만든 다듬잇방망이와 장방형의 표면이 고운 다듬잇돌‚ 홍두깨와 이를 고정시키는 홍두깨틀‚ 옷감을 싸는 보자기와 끈 등이 있다. <사회문화적 의의> 다듬이질을 하는 것은 주로 겹옷이나 솜옷?침구류 등이었고 주로 늦가을과 겨울철에 하였다. 그래서 밤늦게까지 두 사람이 네 개의 방망이로 음률에 맞추어 옷감을 다듬는 다듬이소리는 우리 풍속의 일면을 이루었다고 볼 수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