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벼루

추천0 조회수 2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벼루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먹을 갈아 쓰는 문방구. <개설> 벼루는 먹을 가는데 사용하는 받침을 말하며‚ 돌로 만들었진 문방구이다. <역사> 먹과 마찬가지로 벼루도 중국에서 처음으로 발명되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벼루는 가야 및 삼국시대의 도연(陶硯)이며‚ 통일신라시대의 목심칠연(木心漆硯)도 남아 있어 일찍부터 다양한 벼루가 만들어 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조선 이전에 생산된 벼루는 그 품질이 그리 좋지 않았는데‚ 고려시대에 중국에 보내는 공물 목록에 종이?붓?먹 등은 있지만 벼루가 없다는 사실에서 이를 추측할 수 있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들어서 벼루의 품질이 우수해져서‚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중국 사신들이 선물로 벼루를 요구했음이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되어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벼루의 명칭은 벼룻돌의 재질과 산지‚ 그리고 벼루의 형태 등에 따라 붙여지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이 세 가지를 혼합해서 부르기 때문에 그 명칭은 나열할 수 없을 만큼 많다. 벼루의 형태는 장방형(長方形)?풍자형(風字形)?원형?타원형?팔릉형 등이 있으며‚ 장방형이 기본형이다. 장방형의 벼루를 장방연(長方硯) 또는 사직연(四直硯)이라 부르고‚ 장방형이되 벼루 바닥과 물집이 따로 없이 민자로 만든 벼루를 판자와 같다하여 판연(判然)이라 부른다. 또 두터운 벼룻돌의 밑바닥을 앞쪽에서 뒤쪽으로 비스듬히 파서 손바닥을 집어넣어 들 수 있도록 만든 벼루를 삽수(揷樹)나 초수(抄手)라 부르는데‚ 이러한 삽수식이 발달하여 두께가 7~8cm되는 태사연(?史硯)이 된다. 벼루에 새기는 조각문양은 용?학?거북?봉황?포도?매화?난초?국화?대나무?불로초?감?물고기?팔괘(八卦)?십장생(十長生)?소상팔경(瀟湘八景) 등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문자를 돋을새김하거나 오목새김한 것도 있다. 우리 나라의 석연재(石硯材)는 전국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데‚ 무산?위원?평양?장산곶?정선?평창?장단?단양?계룡산?남포?안동?경주?언양?장수?강진 등이 대표적인 산지로 꼽힌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