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유병

추천0 조회수 1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유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조선시대 만들어진 자기. <개설>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 전반기에 경기도 광주시 일대의 가마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백자병. <역사> 백자는 고려 초기부터 청자와 함께 일부가 만들어졌는데 조선시대 자기의 주류를 이룬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약간 벌어져 말린 입 부분과 좁아진 목에서 서서히 벌어져 둥글고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며 밑이 풍만한 몸체를 이루었으며‚ 넓고 높직하고 당당한 굽다리를 갖춘 세련되고 안정감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담회백색을 띠는 백자태토에 담청색을 머금은 백자유(白磁釉)를 두껍게 발랐다. 굽바닥에는 유를 닦아내고 가는 모래 받침을 받쳐 정교하게 구운 흔적이 남아 있다. 경기도 광주일대의 도마리‚ 무갑리‚ 우산리‚ 학동리 등의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 전반경의 백자 관요(官窯)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초기 백자가 갖는 단정하고 풍만한 양감으로 시대성을 띠었으며‚ 위엄 있는 면을 고르게 갖춘 세련된 모양을 하고 있다. <사회문화적 의의〉 순백자는 그릇 표면을 싸고 있는 유약과 색조 및 그릇을 형성하는 선이 순백자의 생명이다. 순백자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하나는 고려시대 백자의 계통을 이은 것으로 부드러운 곡선의 형태를 띤 것이며 유약은 투명하여 바탕흙과 유약이 밀착되지 않아 유약이 떨어지는 수가 있다. 다른 하나는 원(元)나라 때부터 고려자기에 영향을 끼쳤던 유형으로 유약이 대체로 얇게 입혀져 백색으로 발색되며‚ 때로는 약간 청색을 띠고 있는 것도 있다. 그릇 모양은 풍만하여 양감이 있고‚ 유약은 은은한 빛을 낸다. <유사 관련 용어> 순백자‚ 소문백자‚ 양각백자‚ 음각백자‚ 두각백자‚ 상형백자‚ 진사백자‚ 청화백자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