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칸델라

추천0 조회수 5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칸델라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카바이드에서 나오는 아세틸렌가스를 버너로 분출시켜 불을 붙여 쓰는 조명기구. <발달과정/역사> 네델란드어인 kandelarr‚ 포르투갈어인 candela에서 유래된 말이며‚ 원래는 식물성 기름을 사용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칸델라는 놋쇠로 만들고‚ 무게는340-500g이며‚ 밝기는 3촉광 정도로서‚ 종업원이 들고 다니거나 갱내용모자에 달고 다닌다. 카바이드(carbide)를 한번에 100g정도 넣으면 약 7시간 정도 사용할 수 있고‚ 불을 끈 뒤에는 곧 카바이드를 꺼내서 밀폐하여 두지 않으면 자연 소모가 되어 카바이트가 낭비된다. 조명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 하기 위해서는 반사경을 달고 불구멍을 작게하여 힘차게 분사 되도록한다. 칸델라는 가볍고 취급이 간단하며 값이 싸고 비교적 밝은편이나‚ 사용중에 잘 꺼지고‚ 또 불꽃이 있으므로 갱내 화재의 원인이 될때도 있다. 가연성가스나 탄진이 있는탄광에서는 인화되어 폭발될 위험성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다. 휴대용 칸델라는 오랫동안 철도 ·선박 ·광산 등에서 사용되었는데‚ 카바이드에 물을 첨가하여 발생하는 아세틸렌 가스를 연료로 하고 있다. 나화(裸火:보호막이 없이 드러난 불꽃)이므로 석탄광산의 갱내에서는 사용이 금지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축전지에 의한 전기안전등(캡램프)의 보급으로 금속광산등 일반광산에서도 사용하지 않는다. . <참고문헌> 광산보안 총정리- 원화 두산 세계대백과 엔사이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