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시권

추천0 조회수 4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시권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과거때 글을 지어내던 종이. 글장. <개설> 시권은 과거응시자들이 제출한 답안지 혹은 채점지로 시지(試紙) 또는 명지(名紙)라고도 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시권의 종류는 시험의 종류에 따라 제술(製述) 시권‚ 강서(講書) 시권‚ 사자(寫字)·역어(譯語) 시권으로 나누어진다. 제술은 문장 구사능력과 대체의 요점을 파악할 수 있는 인물을 선발하는 시험으로서 시(詩)·부(賦)·송(頌)·책(策) 등을 시험하였다. 따라서 제술 시권은 시험 과목이나 내용에 관계없이 응시자 자신이 스스로 창안해서 작성하는 논술시험 답안지이다. 글을 시권에 쓴다는 의미에서는 잡과(雜科)의 사자(寫字) 시권과 같은 성격을 지니지만‚ 사자가 단순히 출제부분의 내용을 베껴쓰는 데 비하여 제술은 응시한 당사자가 새로운 글을 창안했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과거의 종류와 과목이 다양했듯이 시권도 시험 과목과 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을 수 있다. 우리가 흔히 보는 제술시험의 시권 이외에 문·무과와 역과의 강서 시권과 사자 시권이 바로 이것들이다. 강서는 사서삼경 등 경전의 임문(臨文 : 책을 눈앞에 펴 놓고 읽는 일) 또는 배강(背講)·배송(背誦)을 통해 시취(試取)하는 방법이므로 답안 작성을 위해 시권이 필요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시험절차상 시험문제를 내고‚ 채점내용을 기록해야 했기 때문에 시권이 필요했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작성된 시권이 바로 강서 시권이다. 즉 강서 시권이란 창작한 글을 쓴 답안지가 아니라 시험출제 과목(주로 사서삼경)과 그 점수를 기록한 일종의 구두(口頭)시험의 채점표인 셈이다. 따라서 시권의 양식도 제술 시험과는 다르다. 강서 시권은 안동의 의성김씨 김성일(金誠一) 가문‚ 해남의 해남윤씨 윤선도(尹善道) 가문 등에 전하고 있다. 해남윤씨 윤이석(尹爾錫‚ 1626∼1694)의 시권의 경우 시험과목으로는 ≪주역 周易≫≪시전 詩傳≫·≪서전 書傳≫·≪논어 論語≫·≪맹자 孟子≫·≪중용 中庸≫·≪대학 ?學≫ 등 삼경사서가 치러졌다. 그리고 과목 아래로 그 과목의 시험문제‚ 점수(純通·通·略·粗)‚ 시관의 서명(署名)이 있다. 시험문제 오른쪽에는 채점된 점수를 합한 종합점수(十一分半)‚ 그리고 천자문의 자호가 있다. 잡과의 사자(寫字) 시권도 시험명을 명시한 점‚ 문제와 답안을 함께 기록한 점‚ 사조(四祖)를 모두 기록한 점 등은 제술 시권과 같다. 다만 시험문제에서 사자할 부분을 자(自)∼지(止)로 표시해 주었고‚ 답안 내용이 제술 답안처럼 창안하는 것이 아니라 출제한 책의 일부를 베꼈다는 점에서 제술 시권과 다르다. (이 시권은 작성자의보 50‚ 1988)‚ 한국과문연구-시·부를 중심으로-(이병혁‚ 동양학 16‚ 단국대학교동양학연구소‚ 1986)‚ 조선시대 생활사(한국고문서학회‚ 1996)‚ 한국 과거제도사(이성무‚ 민음사‚ 1997). 성명 및 출생지‚ 본관 사조의 성명 등을 기록한 별지가 멸실 되어 있다.) <참고문헌> 증보문헌비고‚ 연려실기술‚ 경국대전‚ 전률통보(별편)‚ 과려‚ 과문등록‚ 광산금씨오천고문서‚ 고문서집성 1-40(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98)‚ 조좌호‚ 여대의 과거제도(조좌호‚ 역사학보 10‚ 1958)‚ 봉미 역서고 상(조좌호‚ 대동문화연구 12‚ 1978)‚ 한국고문서연구-증보판-(최승희‚ 지식산업사‚ 1989)‚ 조선조의 역과한학과 한학서-영‚정조시대의 역과 한학시권을 중심으로-(정광‚ 진단학보 63‚ 1987)‚ 조선조후기의 역과시권고-역과한학 청학시권을 중심으로-(정광‚ 제5회 국제학술회의론문집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 역과의 왜학과 왜학서-조선조 영조정묘식년시 역과왜학 현계근시권을 중심으로-(정광‚ 한국학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