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C.oblongibracteata Hu et Chaney(자작나무류)

추천0 조회수 8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C.oblongibracteata Hu et Chaney(자작나무류)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C. oblongibracteata Hu et Chaney (Carpinus) 는 신생대 제3기 마이오세의 식물화석으로 자작나무류에 속한다. 우리나라 경북 포항‚ 장기층에서 발견되었다. 이는 개암나무과(Corylaceae)라고도 하며‚ 자작나무목(─目 Betulales)의 한 과이다. 북반구의 온대지방과 추운 지방에 자생하는 낙엽성 교목과 관목의 6속(屬) 100종(種)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자작나무속(Betula)·오리나무속(Alnus)·개암나무속(Corylus)·서어나무속(Carpinus)·새우나무속(Ostrya)의 많은 종들이 경제적으로 중요하다. 잎은 홑잎으로 톱니가 있으며 어긋난다. 수꽃과 암꽃들은 같은 나무에 나며 잎이 나기 전에 함께 핀다. 수꽃은 길게 늘어뜨리는 미상(尾狀)꽃차례를 이룬다. 암꽃은 짧게 곧추 서서 무리를 이룬다. 열매는 일반적으로 작은 견과(堅果)이거나 짧은 날개가 있는 시과(翅果)이다. 한국에서는 5속 35여 종이 자라고 있는데‚ 자작나무·개암나무·서어나무·오리나무·까치박달·박달나무 등이 흔히 자라고 있다. 자작나무류는 자작나무과(─科 Betulaceae) 자작나무속(─屬 Betula)에 속하는 약 40종(種)의 수명이 짧은 관상용·목재용 교목과 관목이다. 이는 북반구의 한대지역에 걸쳐 분포한다. 피목(皮目)이 독특한 수피(樹皮)는 부드럽고 수지를 함유하며 흰색 또는 여러 가지 색을 띠는데‚ 특히 어린나무에서는 대개 수평으로 종이처럼 얇게 벗겨진다. 오래된 줄기에서는 두껍고 깊게 팬 수피가 불규칙한 판 모양으로 떨어진다. 가느다란 짧은 가지가 어린나무에서는 폭이 좁은 피라미드형을 이루며 자라지만 오래된 나무에서는 수평으로 되거나 축 늘어진다. 잎은 난형 또는 3각형이고 대개 끝이 뾰족하며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는데 잔가지를 따라 어긋난다. 잎은 보통 밝은 녹색이지만 가을에 노란색으로 변한다. 수꽃은 잎이 나기 전에 미상(尾狀)꽃차례를 이루고‚ 암꽃은 같은 나무에서 더 작은 미상꽃차례를 이루어 피는데 수꽃의 꽃차례는 아래로 처지지만 암꽃의 꽃차례는 곧추선다. 솔방울처럼 무리지어 달리는 암꽃의 꽃차례는 성숙하면 허물어지면서 씨 1개가 들어 있는 날개 달린 작은 소견과가 방출된다. 자작나무류 중 회색자작나무·종이백자작나무·니그라자작나무·렌타자작나무·루테아자작나무·백자작나무 등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