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맨틀포획암

추천0 조회수 20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맨틀포획암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맨틀포획암은 직경이 수 ㎝에서 큰 것은 30cm에 달하며‚ 형상은 원형-타원형으로 다양하게 산출되지만 비교적 타원형이 많다. 일반적으로 포획암은 모암과 뚜렷한 경계면을 갖고 있으나‚ 일부 포획암내 단사휘석결정 외연부에는 휘석과 현무암질 마그마 사이의 반응에 의해 반응연이 생성된 것도 있다. 주 구성광물은 감람석-단사휘석-사방휘석의 양비에 의해 스피넬 레졸라이트로 분류된다. 경하에서 포획암류의 대부분은 프로토그래뉼라와 잔쇄반상(porphyroclastic) 조직사이의 중간형을 나타내며 감람석과 사방휘석 중 결정이 큰 것은 파동소광을 보이며 감람석에는 킹크밴딩을 나타내고 감람석의 일부는 변형을 받았음을 암시한다. 스피넬(spinel: 등축정계에 속하는 광물로 첨정석이라고도 한다. 화학성분은 MgAl2O4이다. 보통은 팔면체의 결정을 이루고‚ 흔히 스피넬식 쌍정을 나타낸다. 때로 입상으로도 산출된다. 쪼개짐은 없고‚ 패각상단구를 나타낸다. 굳기는 8이고‚ 금강석·커런덤·금록석 다음으로 굳으며‚ 황옥과 거의 같은 정도이다. 비중은 3.5∼4.2이고‚ 적색·홍색·보라색·황색·청색·녹색·갈색 등 여러 가지 색이 있으며‚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고‚ 유리광택이 강하다. 조흔색은 백색이다. 흔히 철·크롬 등을 함유하여 흑색이나 갈색을 띤다. 아름다운 것은 보석으로 사용되며‚ 특히 분홍색의 투명한 것은 1급 보석으로 다룬다. 보통 석회암 또는 고회암의 접촉대에서 산출되는데‚ 때로 사력 중에 사석으로서도 산출된다. 미얀마·인도·스리랑카 등에서 질이 좋은 것이 산출된다. 근년에는 인조 보석으로 합성된 것이 나오고 있으며‚ 블루스피넬이라고 하는 것은 3월의 새 탄생석으로 되고 있다. 넓은 뜻의 스피넬은 이 족의 총칭으로 사용된다.)은 갈색을 띄며 불규칙한 외형의 간극상으로 산출된다. 포획암(xenolith: 화성암에 포함된 암편으로 그 화성암과는 종류가 다른 것으로 이러한 암편은 마그마의 관입이나 분출에 있어서 주위의 암체나 지층의 일부가 파괴되어 응고된 것이다. 포획암과 그것을 포획하는 모체암석은 화학조성·광물조성·조직이 다르기 때문에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암편이 그것을 함유하는 화성암과 같은 마그마로부터 파생된 것(예:安山岩 속의 현무암 암편)을 동원포획암(autolith)‚ 성인이 다른 것(예:안산암 속의 셰일이나 화강암의 암편)을 외래포획암(xenolith 또는 accidental xenolith)이라고 하였다.)이 현무암과 접하는 경계부근에서는 단사휘석 결정주위에 반응연을 갖기도 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