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유기적 석회암

추천0 조회수 24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유기적 석회암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유기적 석회암은 육지로부터 공급되는 쇄설물이 적고‚ 비교적 pH가 높은 곳에서‚ 탄산석회질의 껍데기를 분비하는 생물에 의하여 유기적으로 침전 고정되어 생성된 석회암이다. 유기적 석회암에는 산호석회암(coral limestone: 화석 석회암 중에서 특히 산호류를 많이 함유한 석회암)‚ 해백합석회암(crinoid limestone)‚ 방추충석회암(fusulina limestone: 석회암 중에서 특히 방추충의 화석을 많이 함유한 암석)‚ 화폐석석회암(nummulite limestone: 석회암 중에서 원생동물문의 고등유공충(또는 대형유공충이라고도 한다)에 속하는 미동물화석을 많이 함유한 암석)‚ 패각석회암(shell limestone: 패각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는 석회암) 등이 있다. 석회암은 대륙붕에서 대양저까지의 광범한 퇴적분지에 쌓인다. 현재 탄산염암이 퇴적되고 있는 곳은 열대 내지 아열대 지방의 바다이다. 가장 유명한 곳은 바다의 깊이가 10m 미만인 대바하마퇴와 그 주변일대이다. 대바하마퇴는 미국 플로리다 반도 남동쪽에 있는 안드로스섬을 둘러싼 얕은 바다로서 이 곳에는 화학적으로 석회니가 퇴적되고 있다. 담수탄산염암은 담수에서 생성된 석회암이다. 담수호에 사는 석회조가 석회분을 분비하여 석회암층을 만든다. 온천물에 녹아 있던 석회분이 침전한 것이 온천침전물이며 그 중에서 다공질인 것을 석회화라고 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