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범어연화문(梵語蓮華文)수막새

추천0 조회수 5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범어연화문(梵語蓮華文)수막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2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드림새의 중앙에 범어가 시문된 조선시대 수막새로서 완형(完形)으로 남아 있다. 조선시대의 수막새는 드림새의 지름이 16∼18㎝정도로 커지고‚ 두께도 3㎝정도로 두꺼우며‚ 드림새의 형태가 하단부가 뾰족한 타원형을 이루고 있고 뒷면에 포흔(布痕)이 뚜렷하다. 드림새와 각이 커진 둔각(鈍角)을 이루며 접합된 수키와는 미구부분이 약간 파손되었으나 완형(完形)에 가까우며‚ 길이는 36.2㎝(미구길이 3.7㎝포함) 두께 3㎝‚ 너비 18.6㎝이다. 16엽으로 구성된 화판(花瓣)은 세장(細長)하고 크기가 약간씩 다르고‚ 주위에는 각각의 굵은 화륜(花輪)이 돌려져 있는데‚ 화판의 중심과 끝은 날카롭고 뾰족하며‚ 화판 사이사이에는 ▽형(形)으로 높게 솟은 돌기(突起)가 연결되어 돌려졌다. 중앙의 자방(子房)은 굵은 돌선(突線)으로 원을 돌려서 화판과 구획하고‚ 평면(平面)에 범어(梵語)가 우아하고 힘있는 필체로 양각되었다. 주연(周緣)은 넓으나 너비가 일정하지 않으며(1.2㎝∼2.2㎝)‚ 문양이 없는 단(段)을 낮게 마련되었고‚ 화판과의 사이에는 좁은 경계면을 두었다. 드림새의 색은 회색을 띠며‚ 모래가 고르게 섞인 소성도가 높은 단단한 경질(硬質)이다. 수키와의 등문양은 무문(無文)이며‚ 내면(內面)에는 작은 크기의 포흔(布痕)이 있으며‚ 드림새의 뒷면에도 포흔(布痕)이 뚜렷이 남아 있다. 조선시대건물지 5곳에서 많이 출토되었으며‚ 제작시기는 「천순(?順)」「정덕(正德)」「만력(萬歷)」등의 연도가 새겨진 명문와(銘文瓦)와 함께 출토되어 조선 초·중기 무렵으로 추정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