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실상사 (實相寺 ‚ Silsangsa Temple )

추천0 조회수 3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실상사 (實相寺 ‚ Silsangsa Temple )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5-29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 개요 >
지리산 천왕봉을 마주하고 자리한 이 절은 통일신라 흥덕왕 3년(828)에 홍척스님이 처음 세웠다. 신라말기 불법보다 참선을 중시한 선종의 여러 종파가 전국 명산에 절을 세웠는데‚ 실상사가 그중 하나이다. 정유재란(1597) 때 모두 불타 숙종(1674~1720) 때 건물 36동을 다시 지었으나‚ 고종 때 화재를 당해 현재의 소규모로 복구하였다. 실상사는 훌륭한 스님들을 많이 배출하여 한국 선불교의 위상을 드높였으며‚ 경내에는 국보인 백장암삼층석탑을 비롯해 보물 등 많은 문화재가 남아 있어‚ 이 절의 역사적 의의와 품격을 대변해 준다.
중요문화재로는 국보 제10호인 백장암 3층석탑‚ 보물 제33호인 수철화상능가보월탑(秀澈和尙楞伽寶月塔)‚ 보물 제34호인 수철화상능가보월탑비‚ 보물 제36호인 부도(?屠)‚ 보물 제37호인 3층석탑 2기(基)‚ 보물 제38호인 증각대사응료탑(凝寥塔)‚ 보물 제39호인 증각대사응료탑비‚ 보물 제40호인 백장암 석등‚ 보물 제41호인 철제여래좌상(鐵製?來坐像)‚ 보물 제420호인 백장암 청동은입사향로(靑銅銀入絲香爐)‚ 보물 제421호인 약수암목조탱화(藥水庵木彫幀畵)가 있다.
< 유래 및 연혁 >
ㅇ 828 (흥덕왕3) 건립
ㅇ 1597 소실
ㅇ 1700 (숙종26) 36동 재건립
ㅇ 1882 (고종19) 사찰 소실
< 주요시설 >
ㅇ 백장암 3층석탑‚ 수철화상능가보월탑‚ 수철화상능가보월탑비‚ 부도(?屠)‚ 3층석탑 2기(基)‚ 증각대사응료탑(凝寥塔)‚ 증각대사응료탑비‚ 백장암 석등 등 기타정보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kcti.re.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