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안성3.1운동기념관 (三一運動紀念館 ‚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Memorial Hall )

추천0 조회수 19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안성3.1운동기념관 (三一運動紀念館 ‚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Memorial Hall )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5-29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 개요 >
안성에서 일어났던 원곡‚ 양성 독립운동은 평안북도 의주군‚ 황해도 수안군과 함께 민족대표 33인이 재판에도 원용될 만큼 격렬했던 3.1운동 3대 실력항쟁지로서‚ 그중에서도 최고로 꼽힌다. 특히 다른 지역과 연결‚ 조직적으로 진행된 것이 아닌 농민들이 주축이 되어 전 주민이 참가했던 운동이었다는 점에서 더욱 큰 의의를 두고 있다. 3.1운동의 역사를 되새기고‚ 안성지역의 순국선열들의 희생정신과 독립정신을 기리기 위한 이 지역의 성역화사업으로 안성 3.1운동기념관을 건립하였다.
ㅇ 입장시간 : 오전 9시 ~ 오후 5시
ㅇ 관람시간 : 오전 9시 ~ 오후 6시
ㅇ 휴무일 : 연중무휴
< 규모 >
ㅇ 부지 면적 : 30‚091㎡
ㅇ 건축 연면적 : 1‚096.25㎡
< 유래 및 연혁 >
ㅇ 1994. 12. 12 광복5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중앙관심사업 선정
ㅇ 2001. 06. 29 사당 내 위패봉안
ㅇ 2001. 07. 18 기념탑 신설공사 준공
ㅇ 2001. 10. 31 무궁화동산 준공
ㅇ 2001. 11. 17 안성 3.1운동기념관 개관
< 주요시설 >
ㅇ 3.1운동 기념탑
원곡‚ 양성 3.1운동의 기치와 역사적 항쟁사를 표현한 기념탑이다. 태극의 4괘는 건‚ 곤‚ 감‚ 리로 구성되며 우리 민족의 영원성을 의미한다. 태극기는 국권을 회복하고 산화한 선열을 위한 휘장이며 탑 측면의 부조는 양민의 학살‚ 주재소 및 통신시설 파괴 등의 의거‚ 새시대의 개척‚ 3.1운동의 역사적 항쟁사가 구상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ㅇ 광복사(순국선열 사당)
3.1운동 당시 안성지역에서의 순국하거나 고문을 당하신 분들의 넋을 위로하고 그 뜻을 기리기 위한 사당으로 현재 이 곳에서는 순국선열 25위와 애국지사 195위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ㅇ 실력항쟁 체험관
2008년 1월 8일 안성3.1운동 기념관 내의 실력항쟁 체험관을 개관하였다. 약 40여평 규모에 안성 3.1운동을 표현하고 현대감각에 맞을수 있는 체험물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고문체험. 퀴즈체험. 만세운동가 체험. 만세소리체험. 손톱고문체험 등. 10여개소의 체험물을 설치하였다. 특히 장애인과 노약자를 위한 승강기 설치를 하여 이동의 편리함을 고려하였다. 기타정보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kcti.re.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