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제주항일기념관 (濟州抗日紀念館 ‚ Jeju Hangil Memorial Hall )

추천0 조회수 11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제주항일기념관 (濟州抗日紀念館 ‚ Jeju Hangil Memorial Hall )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5-29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 개요 >
제주항일기념관은 제주지역의 항일 독립운동에 관한 역사적 자료를 수집‚ 보존‚ 전시함으로써 숭고한 희생정신과 자주 독립정신을 계승발전시키고 올바른 역사의식과 애국‚ 애향정신 함양을 위한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자 건립되었다. 최첨단 시설물이 조형물‚ 벽면부조‚ 설명패널‚ 기록화‚ 영상모니터‚ 디오라마‚ 매직비젼‚ 와이트 칼라‚ 종합그래픽‚ 복제 모형 등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입체적으로 전시하고 있다.
항일기념관에는 제주지역의 항일운동 관련 기록 문서 110여점‚ 독립운 동가 사진자료 170여점‚ 국제한국연구원 기탁자료 10여점‚ 백범 김구기 념사업협회 제공자료 10여점‚ 국립중앙박물관 제공자료 70여점‚ 일본군의 최후를 담은 영상필림 1점‚ 기타 도서자료 110여점 등 총 500여점을 갖추고 있다.
제1전시실에는 항일운동연표‚ 일제침탈과 기구의 개편‚ 송죽매의 결의‚ 지식층의 성장과 민족교육‚ 제주도 항일운동 발생지역도‚ 법정사 항일운동(패널과 디오라마)‚ 의병운동‚ 제주인의 항일운동(부조)‚ 일제의 강제침략과 항일운동 관련 사진 그래픽 등이 전시되어 있다.
제2전시실에는 3ㆍ1운동 전국상황도‚ 전국 3ㆍ1운동의 실체‚ 조천만세운동(패널과 디오라마)‚ 백응선 비석‚ 독립희생회 군자금 모금운동‚ 옥중생활사‚ 항일학생운동‚ 항일청년운동‚ 해녀항일운동(매직비전과 패널)‚ 종합그래픽‚ 제주인의 국외 항일운동‚ 항복문서 조인식 모형‚ 백비 등이 전시되어 있다. 영상관에서는 어둠의 역사를 극복하고 밝은 미래로 나아간다는 `제주의 빛`이 약 30분에 걸쳐 상영하고 있어 제주의 문화‚ 풍속 등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항일기념관 앞에는 '3.1운동기념탑'라고 쓰여진 기념탑과 만세를 부르는 모습의 조각상이 있다. 미밋동산은 3.1운동 당시 제주도에서 맨처음으로 독립만세의 함성이 터져나온 곳으로 만세동산이라 부르고 있다. 서울 휘문고등학교 재학중 3.1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활약하다가 뜻을 품고 고향인 조천리로 내려온 김장환이 김시범 등 14명과 더불어 동지를 포섭하고 이곳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는데‚ 3월 21일 오후 3시 동산에서 조천‚ 신촌‚ 함덕리 주민 500~600명이 모여 독립선언문을 낭독하고 만세구호를 외쳐 도내 곳곳에 펴졌던 곳이다.
ㅇ 관람시간 : 오전 9시 ~ 오후 6시까지이며‚
ㅇ 휴관일 : 1월 1일‚ 설날 및 추석 연휴 기타정보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kcti.re.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