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초의선사유적지 (草衣禪師誕生地 ‚ Historic Site of Seon Master Choui )

추천0 조회수 3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초의선사유적지 (草衣禪師誕生地 ‚ Historic Site of Seon Master Choui )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5-29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 개요 >
초의선사의 높은 정신을 기리고 추모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출생지인 삼향면 왕산리 봉수산 자락에 15천여 평이 부지를 매입하여 생가복원‚ 추모각‚ 추모비‚ 유물전시관‚ 다도관 등을 건립하였다.
공간적으로 크게 진입공간‚ 기념공간‚ 상진공간‚ 전시공간‚ 참배공간으로 99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주요시설로는 초의선사의 사상을 상징하는 일지암과 생가를 복원하고 초의선사의 시·서·화·선·다 사상을 엿볼 수 있는 전시공간을 건립하였다. 초의선사를 참배하는 공간으로는 부지의 최상단에 추모각과 추모비를 배치하고 주변에는 초의선사의 다도비‚ 시비 등을 건립 전체공간이 초의선사의 각종 사상을 재조명할 수 있도록 조성하였다.
초의선사는 조선 정조10년(1786) 에 우리군 삼향면 왕산리에서 태어나 15세에 출가한 후 해남 대둔사 일지암에서 40여 년간 수행하면서 선 사상과 차에 관한 저술에 몰두하여 큰 족적을 남기신 분이다. 특히 당시 침체된 불교계에 새로운 선풍을 일으킨 대선사이자 명맥만 유지해 오던 한국 다도를 중흥시킨 다성으로서 지금까지 추앙을 받고 있으며 시‚ 서‚ 화에 능통하여 5절이라 일컬어지고 있다. 초의선사는 다산 정약용선생과 추사 김정희 선생 등 당대 최고의 거유 석학들과 깊은 교류를 통하여 도교는 물론 유교 등 범서에도 능통한 분이었다. 1866년 80세에 입적하였으며‚ 저서로는 《초의집(草衣集)》 《선문사변만어(禪門四辨漫語)》 《이선내의(二禪來義)》가 있다. 1828년 지리산 칠불암에 머물면서 지은 차서(茶書)인 《다신전(茶神傳)》이 있다. 다신전의 내용은 찻잎따기‚ 차만들기‚ 차의 식별법‚ 차의 보관‚ 물을 끓이는 법‚ 차를 끓이는 법‚ 차를 마시는 법‚ 차의 향기‚ 차의 색 등 20여 가지 목차로 상세하게 다룬 책이다.
< 주요시설 >
ㅇ 생가‚ 추모각‚ 추모비‚ 유물전시관‚ 다도관 등 기타정보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kcti.re.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