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연화머리초문(14717)

추천0 조회수 2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연화머리초문(14717)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4-1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문양설명연꽃을 으뜸무늬로 하는 연화머리초는 건물의 종류나 격식의 높고 낮음에 관계없이 모로단청·금단청의 머리초고 가장 많이 쓰는 대표적인 머리초이다. 연화머리초의 주문양은 속녹화를 꽃받침으로 하여 활짝 핀 연꽃잎 위에 항아리를 얹은 석류동을 올려놓은 것이다. 그 주변에는 주화를 배치하고 바깥에는 녹화를 돌려 드리며 하엽바탕색을 남겨 두고‚ 녹·황실을 돌려 감아 머리초를 완성한다. 연꽃은 우리나라 단청에 가장 많이 쓰이는 문양 요소이다. 연꽃은 군자의 상징으로 비유되었다. 송(宋)나라 유학자 주돈이는 자신이 노래한 「애련설(愛蓮說)」에서 “꽃 가운데 국화는 속세를 떠난 군자요‚ 모란은 부귀한 자이며‚ 연꽃은 군자(君子)라 생각한다.”고 찬양하였다. 이와 같이 진흙탕에서도 물들지 않고 청아하게 피어나는 연꽃을 유교에서는 덕망 높은 군자를 상징하는 꽃으로 여겼던 것이다. 따라서 연꽃문양의 단청은 사찰뿐만 아니라 조선시대의 향교나 서원에서도 빼놓을 수 없는 단청 문양으로 각광받았다. 아울러 연꽃은 많은 아들을 낳기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에 궁궐의 단청에서도 즐겨 사용되는 문양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s://www.kcisa.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