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서수각

추천0 조회수 7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서수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4-1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원시문양 설명]경복궁에 있는 돌계단으로 각 계단의 전면에는 덩굴무늬가 조각되어 있고 기린모양의 기둥이 세워져 있다. 기린은 이마에 뿔이 하나 돋아 있으며 사슴 몸에 소의 꼬리‚ 말과 같은 발굽과 네 개의 다리 앞쪽에 화염 모양의 갈기를 달고 있는 동물로 하루 천리를 달린다고 하는 상상의 동물이다. 전설에 의하면 기린은 용이 땅에서 암말과 결합하여 낳았다고 하며‚ 수컷이 기(麒)이고 암컷이 린(麟)이다. 『시경(詩經)』의 주(註)에는 “발이 있는 것은 차기 마련이며 이마가 있는 것은 들이받기 십상이고 뿔이 있는 것은 부딪치고자 하는데‚ 유독 기린만은 그렇지 아니하니 이것이 그의 어진 성품이다.”라고 했다. 이와 관련하여 어진 성군이 이 세상에 나올 때 전조로 나타난다는 상서로운 동물로 알려지게 되었다. 또 『광아(廣雅)』에서는 기린에 관하여 이렇게 적고 있다. “인(仁)을 머금고 의(義)를 품고 있어 소리는 종려(鍾呂: 동양 음계의 12음계 가운데 하나)에 들어맞고 걸음걸이는 법도에 맞으며 살아 있는 벌레를 밟지 않고 돋아나는 풀을 꺾지 않으며 함정에 빠지지 않고 그물에 걸리지 않는다. 밝은 임금이 나타나 행동거지를 법도에 맞게 처신하면 나타나는데 털 달린 짐승 360가지 가운데 기린이 그 우두머리가 된다.” 우리나라에서도 기린은 어진 성인이 출현하고 세상이 태평해질 징조로 나타나는 길상영수(吉祥靈?)로 여겨졌으며 용‚ 봉황‚ 거북과 함께 사령(四靈)이라 한다. 덩굴은 한자표기로 당초(唐草)라 하는데‚ 곧 당나라풍의 덩굴무늬를 가리킨다. 덩굴문은 고대 이집트에서 발생하여 그리스에서 완성되었으며 북아프리카‚ 시리아‚ 메소포타미아‚ 서아시아‚ 페르시아 등의 제국과 인도‚ 중국‚ 한국‚ 일본 등 광범위한 지역에서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당초라고 하는 용어는 원래 겨우살이덩굴(인동초)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인동초(忍冬草)는 한국을 비롯한 중국 등지의 산악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겨우살이 덩굴식물이다. 이 덩굴은 겨울을 견뎌낼 뿐만 아니라 덩굴을 이루면서 끊임없이 뻗어나가기 때문에 장수와 대(代)를 이음을 상징하게 되었다. 덩굴문은 단독으로 쓰이는 것보다 다른 무늬와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개별문양기린문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s://www.kcisa.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