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 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 (驪州李氏 ?山門中 典籍 - 驪州李氏 ?山門中 典籍)_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 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驪州李氏 ?山門中 典籍 - 驪州李氏 ?山門中 典籍)

추천0 조회수 99 다운로드 수 4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 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 (驪州李氏 ?山門中 典籍 - 驪州李氏 ?山門中 典籍)_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 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驪州李氏 ?山門中 典籍 - 驪州李氏 ?山門中 典籍)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5-29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 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에 대한 설명입니다.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 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驪州李氏 ?山門中 典籍 - 驪州李氏 ?山門中 典籍)은 아래와 같다
ㅇ 이륜행실도(二倫行實圖‚ 1539년) : 이 책은 현재 알려진 국내 소장본 중 가장 빠른 본에 속하며 조선시대 유학사상 및 윤리관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또한 도판 및 언해‚ 권말의 판각기록은 조선시대 판화(版畵)의 변천‚ 국어사·서지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ㅇ 여어편류(儷語編類‚ 1542년) : 이 책은 중종조의 문인 학자로 관찰사를 역임한 조인규(趙仁?)가 홍문관 전한으로 재직시에 사륙문(四六文)을 문체별로 20권으로 분류하여 편찬한 것인데 옥산문중 소장본은 조(詔: 권1)와 계(啓: 권11)가 수록된 2권 2책이다. 첫권 표지 2면에는 내사기가 있어 이 책의 인출연대를 알 수 있다.
ㅇ 대전후속록(?典後續錄‚ 1543) : 『대전속록(?典續錄)』의 시행 후 1542년까지의 약50년간의 수교(受敎)를 수집하여 편찬한 법전이다. 표지 뒷면에 내사기가 있다.
ㅇ 황화집(皇華集‚ 1546) : 명종 1년(1546) 2월 사제부시사(賜祭賻諡使)로 조선에 입국한 명나라 사신 왕학(?鶴)을 맞이하여 사신의 시문과 관반(館伴) 정사룡(鄭士龍) 등의 화시(和詩)를 합편한 것이다. 내사기가 있으며‚ 한중 외교사 및 한문학·서지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ㅇ 구인록(求仁錄‚ 1550) : 이 책은 회재 이언적(晦齋 李彦迪‚ 1491-1553)이 강계(江界)로 유배되어 있는 동안 공자사상의 핵심인 仁에 대한 모든 說을 모으고 자신의 견해를 붙여 편집한 책으로 조선조 성리학 연구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는 책이다.
ㅇ 잠명(箴銘‚ 1547년경) : 이언적이 수양과 관련이 있는 송대 성리학자들의 잠계류(箴戒類) 글 75편과 자신이 지은 시 16수 도합 91편을 모아 편집한 책으로‚ 회재의 학문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이다.
ㅇ 관서추정일기(關西趨庭日記‚ 1549-1553) : 이 책은 1549년 서자인 이전인(李全仁)이 이언적이 유배생활을 하고 있는 강계로 찾아가 시측(侍側)하면서 배우거나 견문한 내용을 적은 것이다. 유배지에서 아들을 대하는 대학자의 면모를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ㅇ 국조유선록(國朝儒先錄‚ 1571) : 태극문변답서(?極問辯答書) 등 이언적‚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의 글을 모아 수록하였다.
ㅇ 퇴계선생수찰(退溪先生手札) : 이황(李滉‚ 1501~70)이 이언적가(李彦迪家)로 보낸 1566‚ 67년의 서간 2통.
ㅇ 서애서독(西厓書牘) : 유성룡(柳成龍‚ 1542~1607)의 1586‚ 87‚ 88‚ 99‚ 1601‚ 04년 서간 13통.
ㅇ 한강서독(寒岡書牘) : 한강 정구(寒岡 鄭逑‚ 1543~1620)의 1607‚ 11‚ 14~18년 서간 35통.
ㅇ 제현서독(諸賢書牘) : 박계현(朴啓賢)‚ 노수신(盧守愼)‚ 장현광(張顯光)‚ 유성룡(柳成龍)‚ 김성일(金誠一)‚ 윤근수(尹根壽)‚ 이안눌(李安訥)‚ 정창연(鄭昌衍)‚ 이희수(李喜壽)‚ 정경세(鄭經世)‚ 이호민(李?閔)‚ 이산해(李山涇)‚ 여대노(呂?老) 등의 서간 21통.
ㅇ 수간(手簡) : 이희조(李喜朝)‚ 김장생(金長生)‚ 송시열(宋時烈)‚ 이정구(李廷龜)‚ 윤두수(尹斗壽)‚ 윤근수(尹根壽)‚ 이단상(李端相)‚ 윤휘(尹暉)ㆍ윤방(尹昉) 등의 서간 17통.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ha.go.kr/cha/idx/Index.do?mn=NS_01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