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 (分類杜工部詩(諺解) 卷二十一)_분류두공부시언해권21

추천0 조회수 2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 (分類杜工部詩(諺解) 卷二十一)_분류두공부시언해권21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5-29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1에 대한 설명입니다.당(唐)나라의 시인 두보(杜甫‚ 712∼770)의 두공부시(杜工部詩)를 성종(成宗) 때 홍문관전한(弘文館典翰) 유윤겸(柳允謙) 등이 왕명을 받들어 제주(諸註)를 참정(參訂)하고 한글로 역편(譯編)한 것이다. 두공부시(杜工部詩)라 제명(題名)한 것은 두보(杜甫)가 공부원외랑(工部員?郞)의 벼슬을 지냈기 때문이며‚ 분류(分類)는 송조(宋朝)의 분문집주두공보시(分門集注杜工甫詩)를 참고(參考)하고 서명에 관기(冠記)한 것이다. 그리고 원(元)나라 때 편찬된 찬주분류두시(纂註分類杜詩)를 원본으로 두보(杜甫)의 시 1‚647편 전부와‚ 다른 사람의 시 16편에 주석(註釋)을 달고 한글로 언해한 책으로 흔히 ‘두시언해(杜詩諺解)’로 통칭되기도 한다.
이 책은 조선 성종 12년(1481)에 을해자(乙亥字) 및 을해자 병용(乙亥字 倂用) 한글자(字)로 간행된 것이 그 초간본이다. 권두의 서명은 ‘분류두공부시권지이십일(分類杜工部詩‚ 卷之二十一)’로 되어 있으며‚ 별도의 저자(著者)표시는 보이지 않고 있다. 판식(板式)은 사주단변(四周單邊)이며 반엽(半葉)을 기준으로 8항(行) 17자(字)를 기본으로 하여 작은 자(小字)와 한글 활자를 함께 배열하고 있고‚ 판심부에는 ‘두시(杜詩)’의 판심제(板心題)와 장차(張次)가 새겨져 있다. 한글에는 방점(傍點)이 남아 있어 임란 이전의 국어현상을 반영하고 있다. 모두 45장(張)으로 되어 있으며 상태가 양호한 편이나‚ 전후의 표지(表紙)가 모두 개장(改裝)되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ha.go.kr/cha/idx/Index.do?mn=NS_01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