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이중로 정사공신교서 및 초상-이중로초상 (李重老 靖社功臣敎書 및 肖像-李重老 肖像)_이중로영정

추천0 조회수 5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중로 정사공신교서 및 초상-이중로초상 (李重老 靖社功臣敎書 및 肖像-李重老 肖像)_이중로영정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5-29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이중로 정사공신교서 및 초상-이중로초상에 대한 설명입니다.이중로영정은 오사모에 단령을 입고 의자에 앉은 전신좌상이다. 흉배는 모란 및 해태문양이 수놓인 것을 착용하고 있으며‚ 학정금대(鶴頂金帶)를 두르고 있어 이 초상화가 무관 종2품 때의 도상임을 말해준다.
이 상의 특징을 들자면‚ 사모의 높이가 상당히 낮으며‚ 양쪽으로 뻗친 사모의 각(角‚ 뿔)은 넓적하고 둥글며 발색효과 없이 테두리를 굵게 둘렀다. 또한 7분면으로 인한 자세를 강조하기 위해 양 어깨의 형태 및 경사의 차이를 심하게 나타내었으니‚ 즉 왼편 어깨는 둥글고 두텁게 나타나는데 비하여 오른쪽 어깨선은 상당히 급한 경사를 보이고 있다. 또한 취세(取勢)에서 안면을 비롯하여 상반신은 완전히 7분면인데 반하여 하반신은 거의 8∼9분면으로서‚ 이 시기보다 앞선 선무(宣武)‚ 호성(扈聖)‚ 청난(?難) 세 공신상들이 왼쪽 단령의 트임만 표시된 데 비하여 이 상은 오른쪽에도 단령의 트임이 살포시 나타나서 상하반신의 취세에 약간 뒤틀림이 보인다.
안면처리법은 안색의 주조색은 엷고 밝은 살빛인데‚ 이목구비 등 안면의 구성요소 및 외곽은 갈색 선으로 규정하고 다만 윗 눈꺼풀 부위만 검은 세선으로 처리되어 있다. 그리고 골상학에서 말하는 오악(五岳) 부위‚ 즉 안면골상에서 튀어 나온 부분에만 홍기(紅氣) 내지 적기(赤氣)를 약간씩 붓의 흔적이 보이지 않도록 살짝 칠하였다. 이것은 피부 밑 골(骨)의 구조에 의해 만면의 고심세(高渙勢‚ 높고 낮은 형세)를 표현하고자 한 것으로 이해된다. 단령은 굵고 검은 선으로 전체의 윤곽을 규정하고‚ 옷주름은 대강 간략히 그려 넣었는데‚ 아직 주름진 부위의 음영삽입은 시도되어 있지 않다.
바닥에는 화려한 채전(彩顫‚ 채색 카페트)이 깔려 있는데 이 채전의 높이가 상당히 높아서 고식을 보여주며‚ 그림 전체에 장중한 느낌을 더해준다.
이중로 초상화는 17세기 초 조선조 공신상의 가장 전형적인 예를 보여주는 동시에 화법 또한 특히 공교하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ha.go.kr/cha/idx/Index.do?mn=NS_01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