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 음각연화절지문 매병 및 죽찰 (靑磁 陰刻蓮花折枝文 梅甁 및 竹札)_보물 제1784호 청자 음각연화절지문 매병 및 죽찰(2012년 국보‚보물 지정보고서)

추천0 조회수 36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 음각연화절지문 매병 및 죽찰 (靑磁 陰刻蓮花折枝文 梅甁 및 竹札)_보물 제1784호 청자 음각연화절지문 매병 및 죽찰(2012년 국보‚보물 지정보고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5-29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청자 음각연화절지문 매병 및 죽찰에 대한 설명입니다.청자 음각연화절지문 매병과 죽찰은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마도에서 마도2호선이라 명명된 고려시대 선박에서 출토되었으며 그 제작 시기가 12세기 후반에서 13세기 초반 경으로 추정된다.
청자 음각연화절지문 매병은 11-12세기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청자 음각연화문 매병과 연화의 가지와 꽃잎‚ 꽃봉우리 등의 표현방식이 매우 유사하며 그 유색 또한 회청색의 맑고 투명한 유약이 시유되어 전통적인 장식 형태를 계승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맑은 유색과 잘빠진 형태‚ 수려한 조각 솜씨 등은 예술성을 뚜렷하게 보여줌과 동시에 매병의 기형과 음각 장식의 전통이 오랫동안 지속되었음을 보여주는 시대성과 학술적 가치를 갖추고 있다.
문양 안쪽의 세부 잎맥은 가늘고 얕은 음각기법으로 표현하여 사실감을 더했다. 연줄기 밑둥은 유면 위에서 뾰족한 도구를 사용해 점을 찍는 방식으로 사실감을 주었는데‚ 이러한 연꽃줄기의 표현방식은 이전의 고려시대 매병에서는 잘 보기 어려운 것으로 중국 정요 매병에서 일부 보이는 기법이다. 따라서 이 음각 매병의 제작시기는 상대적으로 기존의 12세기로 추정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음각연화문매병보다는 늦은 시기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매병의 형태는 오랜 기간 정형화되어 지속되지만 문양 장식은 그 변화 양상이 보다 빨리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죽찰에는 ‘준(樽)’이라는 기명의 명칭과 내용물이 기재되어 있어 고려시대 매병의 표기와 꿀을 담았던 매병의 당시 용도를 알 수 있게 하는 시대성과 희소성을 지니고 있다. 앞면과 뒷면 모두 글자가 있고‚ 앞면 8자 뒷면 7자 총 15자다. 앞면에는 “중방도장교오문부(重房都將校吳文富)”가 적혀 있는데 수취인을 적은 것이다. 뒷면에는 “택상정밀성준봉(宅上精蜜盛樽封)”이라고 적혀 있어서 준(樽)에 꿀을 담아 올린다는 내용임을 알 수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ha.go.kr/cha/idx/Index.do?mn=NS_01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