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곡성의돌실나이 (谷城의돌실나이)_곡성의돌실나이(삼)

추천0 조회수 101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곡성의돌실나이 (谷城의돌실나이)_곡성의돌실나이(삼)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5-29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곡성의돌실나이에 대한 설명입니다.‘돌실나이’는 전남 곡성군 석곡면에서 삼베를 짜는 일(길쌈) 또는 그러한 기술을 가진 사람을 말한다. 삼베는 ‘베’라고도 불리며‚ 한자어로는 마·마포·포 라고도 한다. 곡성의 돌실나이는 예로부터 품질이 우수하고 섬세하여 삼베의 대명사로 불리웠다.
삼베는 전기 신석기시대의 유적인 궁산조개더미에서 뼈로 만든 바늘에 실이 감겨 있는 것이 출토된 것으로 보아 그 이전부터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기술이 발달하여 중국으로 수출하였고‚ 문물교환의 수단으로 모시와 함께 사용되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에는 면의 재배로 삼베의 생산이 약간 줄어들었다.
삼베의 제작과정을 보면 우선 재배를 해서 수확을 한 후‚ 잎을 훑은 삼단을 삼굿에 넣고 쪄서 껍질을 벗기고 햇볕에 말린다. 삼을 쪼개는 과정을 거친후‚ 실을 한올 한올 길게 잇는다. 그런 다음 베 한 필의 길이와 삼베에 따라 몇 올이 들어갈지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풀 먹이는 과정을 거친 다음 베틀을 이용해 베를 짠다.
오늘날 삼베의 폭은 30∼35㎝ 정도로 돌실나이가 9승‚ 안동포가 12승이 짜지고 있으며‚ 숫자가 높을수록 섬세한 포가 된다. 예전에는 북포(함경도 육진)‚ 강포(강원도)‚ 영포(경상도)‚ 안동포(경북 안동)가 유명하였으나 서양문물의 유입에 따라 가내수공업으로 전락하면서 겨우 명맥만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ha.go.kr/cha/idx/Index.do?mn=NS_01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