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별전 괴불(17족) (別錢 괴불(17足))_별전괴불

추천0 조회수 5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별전 괴불(17족) (別錢 괴불(17足))_별전괴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5-29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별전 괴불(17족)에 대한 설명입니다.이 별전괴불은 별전과 괴불 등의 자수 장식품들을 꿰어 만든 열쇄 패이다. 별전은 조선 인조 11년(1633) 상평통보의 소재인 구리의 질과 무게 등을 시험하기 위해 만들어진 일종의 기념화로 당시 왕실이나 사대부들의 패물이나 애장품으로 사용되었다. 괴불은 오래된 연꽃 뿌리에 서식하는 열매로 벽사(벽邪)의 의미를 갖고 있어서 헝겊 등으로 만들어 어린이나 부녀자들이 장식품으로 애용하였다.
이 별전괴불은 궁중에서 사용한 것이라 전하며 그 형태는 용두문 고리에 달린 주머니형의 동판에 별전‚ 괴불 등 모두 19줄의 장식이 달려 있는데 그중 3줄은 용두문 고리에 달려 있다. 복주머니의 한 면은 백색 바탕 중앙에 청색 해태 한 마리가 칠보되어 있고 해태를 중심으로 적색·황색·청색의 새들과 난초 같은 꽃 한 송이가 시문되어 있다. 바탕에는‘수복강령(壽福康寧)’‚‘부귀다남(富貴太男)’이라는 길상문과 형태를 알 수 없는 문양이 시문되어 있는데 이 문양들은 모두 적색·청색·녹색 칠보로 되어있다. 주머니뒷면은 청색 바탕에 적색 몸통과 녹색 날개를 그린 박쥐 다섯 마리가 칠보기법으로 동판에 음각되었으며 중심부에는 황색 원형 속에 적색의‘수(壽)’자 문양이 칠보장식 되어 있다. 용두문 고리에 연결되어 있는 윗부분은 청홍의 칠보를 한 동물의 얼굴형을 하고있다.
이 복주머니 동판에 16줄의 장식품이 달려 있는데 그 중 7줄의 별전이 황색·적색·연두색의 긴 사각형의 비단 천에 꿰어져 있다. 6줄은 원형의 별전이 9개씩‚ 1줄은 꽃 모양의 별전 5개와 원형 별전 2개가 꿰어져 있다. 한 줄의 길이는 대략 20~35㎝ 정도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ha.go.kr/cha/idx/Index.do?mn=NS_01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