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인천안목 (人?眼目)_인천안목이란 “인간과 천상의 일체가 모두 중생의 안목이 된다”는 뜻으로‚ 이 책은 송나라 승려 지소(智昭)가 당시 불교의 5개 종파‚ 즉 임제종(臨濟宗)ㆍ운문종(雲門宗)ㆍ조동종(曹?宗)ㆍ위앙종(?仰宗)ㆍ법안종(法安宗) 등 5종의 강요(綱要)와 이들 종파 조사(祖師)들의 유고ㆍ잔게(殘偈)ㆍ칭제(稱提)ㆍ수시(垂示) 등을

추천0 조회수 13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인천안목 (人?眼目)_인천안목이란 “인간과 천상의 일체가 모두 중생의 안목이 된다”는 뜻으로‚ 이 책은 송나라 승려 지소(智昭)가 당시 불교의 5개 종파‚ 즉 임제종(臨濟宗)ㆍ운문종(雲門宗)ㆍ조동종(曹?宗)ㆍ위앙종(?仰宗)ㆍ법안종(法安宗) 등 5종의 강요(綱要)와 이들 종파 조사(祖師)들의 유고ㆍ잔게(殘偈)ㆍ칭제(稱提)ㆍ수시(垂示) 등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5-29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인천안목에 대한 설명입니다.인천안목이란 “인간과 천상의 일체가 모두 중생의 안목이 된다”는 뜻으로‚ 이 책은 송나라 승려 지소(智昭)가 당시 불교의 5개 종파‚ 즉 임제종(臨濟宗)ㆍ운문종(雲門宗)ㆍ조동종(曹?宗)ㆍ위앙종( 仰宗)ㆍ법안종(法安宗) 등 5종의 강요(綱要)와 이들 종파 조사(祖師)들의 유고ㆍ잔게(殘偈)ㆍ칭제(稱提)ㆍ수시(垂示) 등을 요약하여 정리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우리나라 선가(禪家)에서 많이 읽히는 책이다.
이 책은 3권 2책으로 이루어졌으며‚ 크기는 세로 28.4㎝‚ 가로 18.8㎝이다.
고려 공민왕 6년(1357)에 원나라에서 활동하던 진성군(晉城君) 강금강(?金剛)이 간행한 책을 원본으로 삼아 태조 4년(1395)에 무학대사(無學?師)가 회암사(檜巖寺)에서 번각한 목판본을 저본으로 하여 후대에 다시 번각한 목판본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ha.go.kr/cha/idx/Index.do?mn=NS_01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