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양사 석조아미타삼존불좌상 (白陽寺 石造阿彌陀三尊佛坐像)_관음보살상

추천0 조회수 79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양사 석조아미타삼존불좌상 (白陽寺 石造阿彌陀三尊佛坐像)_관음보살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5-29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백양사 석조아미타삼존불좌상에 대한 설명입니다.울산 백양사에 봉안되어 있는 석조아미타삼존불좌상은 중앙에 아미타불‚ 오른쪽 협시에는 대세지보살‚ 왼쪽 협시에는 관음보살로 구성되어 있다. 아미타불은 원래 대웅전 내부 본존불로 모셔졌으나‚ 대웅전을 현재의 모습으로 중창하면서 본존상은 응진전의 본존으로 봉안되고‚ 양 협시상은 새로운 본존불과 함께 대웅전 향좌측 불단에 모셔놓았다.
본존인 아미타여래좌상의 대의는 오른쪽 어깨를 살짝 덮어 내린 변형식 편단우견으로 표현되어 있다. 결가부좌를 하고 있으며‚ 수인은 오른손을 아래로 내려 항마촉지인을 표현하고 있으며‚ 왼손은 아미타수인을 취하고 있다.
협시보살은 큰 보관을 쓰고 있으며‚ 관음보살은 보관 상단 중앙에 아미타여래좌상을‚ 대세지보살은 정병을 표시하여 각각의 존명을 나타내고 있다. 협시보살의 법의는 변형식 편단우견을 입고 있으며‚ 표현방식은 본존과 동일하지만 대의자락의 옷 주름은 본존보다 간략화 된 모습이다.
관음보살상과 대세지보살상에서 발견된 중수기에 의하면 이 삼존불상은 1767년(건륭32년)에 중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재질상으로 경주옥석(불석)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17세기 후반부터 경상도지역에 본격적으로 유행한 것이다. 전반적인 불교양식으로 볼 때 17세기 후반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ha.go.kr/cha/idx/Index.do?mn=NS_01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