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효령대군영정 (孝寧?君影幀)_효령대군영정

추천0 조회수 3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효령대군영정 (孝寧?君影幀)_효령대군영정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5-29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효령대군영정에 대한 설명입니다.조선 태종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1396∼1486)의 초상화로‚ 가로 70㎝‚ 세로 90㎝의 작은 규모의 작품이다.
효령대군은 태종의 둘째 아들로‚ 세종대왕의 형이다.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독실한 불교신자로 불경의 간행과 원각사 창건에 참여했다.
그림은 황색의 관모를 머리에 쓰고‚ 붉은색 홍포를 차려 입고 의자에 앉아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 전신좌상이다. 얼굴은 정면을 향하고 있어 다른 부분의 표현보다 중요한데‚ 여기서는 약간 도식적이고 미숙하게 처리된 감이 있다. 코와 입술은 윤곽을 묘사하는데에는 신경을 썼으나 수염의 표현은 세밀하지 않으며‚ 또한 무언가를 잡고 있는 오른손의 형태도 불완전하다. 모자와 허리띠‚ 옷의 무늬 등에는 금칠을 하였는데 무게감을 실으려 고심한 흔적이 보인다.
화면이 다소 거칠고 정교하지 못한 것은 조선 전기의 초상화에서는 보기 어려운 모습으로 여러 번 옮겨 그린 탓으로 보인다. 이 그림은 몇 번 옮겨 그린 중모본이기는 하지만 조선 전기의 초상화가 거의 전해오지 않는 현 시점에서 소홀히 해서는 안될 작품이다. 현재 그의 초상화는 관악산 연주암에 보존되고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ha.go.kr/cha/idx/Index.do?mn=NS_01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