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성호선생문집책판 (星湖先生文集冊板)_성호선생문집책판(보관장소)

추천0 조회수 2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성호선생문집책판 (星湖先生文集冊板)_성호선생문집책판(보관장소)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5-29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성호선생문집책판에 대한 설명입니다.『성호선생문집』책판은 조선 후기 우리나라 문화와 사상사에 하나의 신기원을 이룩한 실학자인 성호 이익(李瀷‚1681∼1763)의 방대한 문집을 목판에 새겨 발행한 것으로‚ 총 27책 800여 장으로 여주 이씨 문중의 천연정에서 간행되었다.
이익은 둘째형 이잠이 장희빈을 두둔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47살의 나이로 옥에서 죽자‚ 과거에 나아갈 뜻을 버리고 평생을 조상들의 묘가 있는 안산의 첨성리에서 살았다. 그의 학문은 철저하게 유교적인 기반 위에서 이루어진 것이었으나‚ 당시의 세계관과 역사의식이 확대되면서 자기나라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실증적인 태도를 갖추었다. 양반도 생산적인 일에 직접 종사해야 하고‚ 노비의 신분을 점차적으로 해방시켜야 한다는 등 당시 조선사회에서는 혁신적인 주장을 많이 편 인물이다. 저서로는 『성호사설』‚ 『곽우록』‚ 『성호선생문집』 등이 있다.
이 문집은 영조 50년(1774)에 그 조카인 이병휴에 의해 이루어졌고‚ 그 뒤 순조 27년(1827)에 황덕길과 이익의 증손자인 이재남과 함께 다시 정리했으나 완성을 못하고 고종 27년(1890)에 이남규가 27책본으로 간행하였다.
이 27책본 『성호선생문집』은 1916년에 밀양의 노상직‚ 안화진‚ 손태헌 등이 문집을 간행하기로 결의하고 그 이듬해 1917년에 일을 마쳤다. 이 문집간행 출연록에 따르면 41개 문중 70여 명이 참여‚ 소요된 경비를 충당하였다. 160여 년이나 출간되지 못하고 상자 속에 들어 있던 이익의 문집이 밀양인사들에 의해 간행될 수 있었던 것은 성제 허전이 김해부사로 부임하여 늘 이익의 문적이 간행되지 못한 것을 한탄하고 그 간행을 제자들에게 부탁했기 때문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ha.go.kr/cha/idx/Index.do?mn=NS_01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