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강진구곡사소장익재이제현상과백사이항복상 (康?龜谷祠所藏益齋李齊賢像과白沙李?福像)_강진 구곡사 소장 백사 이항복 상

추천0 조회수 50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강진구곡사소장익재이제현상과백사이항복상 (康?龜谷祠所藏益齋李齊賢像과白沙李?福像)_강진 구곡사 소장 백사 이항복 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5-29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강진구곡사소장익재이제현상과백사이항복상에 대한 설명입니다.귀곡사에 보존되고 있는 익재 이제현(1287∼1367) 선생과 백사 이항복(1556∼1618) 선생의 초상화이다.
이제현 선생은 고려 공민왕 때의 문신이며 학자로‚ 문장가로도 널리 알려진 인물이고‚ 이항복 선생은 이제현 선생의 후손으로 조선 선조 때의 문신이며 임진왜란 당시 큰 활약을 보인 공신이기도 하다.
이제현 선생의 초상화는 생각하면서 걷는 듯한 모습으로 약간의 움직임이 느껴진다. 입고 있는 의상은 중국 송나라 사인도의 양식과 비슷하여 이 초상화를 통해 고려시대의 초상화가 송대의 형식을 바탕으로 발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시대의 초상화가 거의 남아있지 않은 실정에서 보면 고려시대 초상화의 한 유형을 짐작케 하는 귀중한 자료가 되기도 한다.
이항복 선생의 초상화는 비단 바탕에 채색하여 그렸는데‚ 사모를 쓰고 가슴에 모란·공작 흉배를 한 대례복 차림을 한 모습으로‚ 그의 덕망과 의기로운 성품을 읽을 수 있다. 화문석이 깔린 바닥 표현‚ 발받침대 위헤 발을 얹은 채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 등은 조선시대 중기(17세기) 공신초상화의 전형적인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두 영정은 필자나 제작연대가 확실하지는 않은데‚ 모두 18세기 이후 당대의 원본을 충실히 옮겨 그린것이라 한다. 이제현 상은 고려 후기 초상화의 한 유형을 짐작케 하고‚ 이항복 상은 17세기 전반의 전형적인 공신도상을 보여주고 있어‚ 한국의 초상화 연구에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ha.go.kr/cha/idx/Index.do?mn=NS_01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