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한강 정구 신도비 (寒岡 鄭逑 神道碑)_신도비 전경

추천0 조회수 5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강 정구 신도비 (寒岡 鄭逑 神道碑)_신도비 전경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5-29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한강 정구 신도비에 대한 설명입니다.이 비는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의 외증손으로 조선 성리학사에서 확고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 한강(寒岡) 정구(鄭逑‚ 1543~1620)의 신도비(神道碑)이다. 비석은 인조 11년(1633)에 수륜면 수성리 갓말마을 뒷산인 창평산 묘소 부근에 세워졌다가 한강 정구의 묘소를 성주읍 금산리 인현산으로 이장하게 되면서‚ 현종 3년(1668)에 현재의 위치인 회연서원(유형문화재 제51호) 경내로 옮겨 세워졌다.
신도비는 비신(碑身)‚ 이수( 首)‚ 귀부(龜趺)가 완전하게 잘 남아 있다. 이수에는 쌍룡문(雙龍紋)과 여의두문(?意頭紋)이 깊이 새겨져 있고‚ 귀부는 귀갑문(龜甲紋)이 양각으로 얕게 새겨져있다. 신도비의 전체 높이는 390cm이며‚ 비신의 높이 230cm‚ 정면 폭은 106cm‚ 두께는 29.5cm이다. 비신의 전면 상단에 전서(篆書)로 “문목공한강정선생신도비명(文穆公寒岡鄭先生神道碑銘)”이라 새겼는데‚ 글자의 크기는 가로 6cm‚ 세로 9cm이다. 비신의 4면에 걸쳐 가로 2cm‚ 세로 2.2cm 크기의 글자로 비문이 새겨져 있다. 비문은 상촌(象村) 신흠(申欽)이 지었고‚ 글씨는 김세렴(金世濂)이 썼다.
한강 정구 신도비는 조성연대가 오래되어 문화재적 가치가 높을 뿐만 아니라 동방 5현의 한 사람인 외증조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의 도학을 전수하고‚ 그 기반 위에 퇴계학과 남명학을 통합하여 새로운 학통을 세워 실학의 연원을 확립하였으며‚ 학문의 연구대상을 온 우주의 공간으로 삼고 의학‚ 역사‚ 천문‚ 풍수지리‚ 예학 등 여러 학문에 통달한 대학자였던 한 강 정구의 역사적 위상을 보여주는 문화유산이라 할 수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ha.go.kr/cha/idx/Index.do?mn=NS_01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