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민속자연사박물관 (民俗自然史博物館 ‚ Folk Natural History Museum )

추천0 조회수 8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민속자연사박물관 (民俗自然史博物館 ‚ Folk Natural History Museum )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9-09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 개요 >
지난 1984년 5월 24일 개관한 민속자연사박물관은 제주도 내에 산재해 있는 고유의 민속유물과 자연사적 자료를 조사 연구‚ 수집하고 전시하는 국내 유일의 박물관이다. 전시실에는 제주인 일생의 통과의례를 비롯해서 의·식·주와 생산 산업의 자료들을 입체적으로 전시하는 한편 제주의 형성과정‚ 지질암석‚ 해양식물‚ 동물‚ 식물의 자료들을 생태학적으로 전시하고 있다.
자연사 전시실은 화산암‚ 화석‚ 해양생물‚ 식물‚ 곤충‚ 조류로 나누어져 전시되어 있다. 약 2571여점(지질암석 : 146‚ 해양생물 : 581‚ 식물 : 1188‚ 곤충 : 504‚ 조류·포유류 : 66‚ 도요새 : 23‚ 바다새 : 63)의 제주 자연관련 전시품이 전시되어 있어‚ 제주의 자연을 한눈에 볼 수 있다.
민속 전시실 부분은 제1민속전시실과 제2민속전시실로 나누어져 있는데 제1민속전시실에는 제주 변천사와 제주인의 일생으로 다시 나누어져 있으며‚ 민속전시실에는 2‚381점이 전시되어 있다. 제2민속 전시실에서는 제주의 생산생업을 주제로한 전시물을 관람할 수 있다.
야외전시실에는 곡식을 가공했던 연자매를 중심으로 수용통‚ 고래‚ 방애‚ 절구가 있고‚ 화로‚ 도구리 등의 생활용구와 동자석‚ 석등‚ 망주석 같은 신앙생활용구를 비롯한 100여점이 전시되어 있다. 기타정보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kcti.re.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