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온양민속박물관 (溫陽民俗博物館 ‚ Onyang Folk Museum )

추천0 조회수 10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온양민속박물관 (溫陽民俗博物館 ‚ Onyang Folk Museum )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9-09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 개요 >
충청남도 아산시 온양동에 위치한 온양민속박물관은 유형적인 민속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 보존‚ 전시하여 후세들에게 합리적으로 이해 교육시키며 전통적 요소를 오늘에 되살릴 수 있도록 유도하며 학술적으로 고증하여 분석 연구하고 세계 속에 한국문화의 독자성을 선양하는데 설립 취지를 두고있다.잊혀져가는 조상들의 슬기롭던 생활풍습의 자료를 수집·보존하여 역사연구와 학술자료로 삼기 위한 민속박물관 설립의 필요성을 통감한 계몽사(啓蒙社) 회장 김원대(金源?)의 출연(出捐)으로 재단법인 계몽문화재단에 의하여 설립되었다. 1975년 온양민속박물관 설립추진위원회가 조직되어 이듬해 공사에 착수‚ 1978년 10월 25일에 개관하였다. 대지 2만 5000평‚ 건평 3‚300평의 이 박물관은 제1‚ 2‚ 3‚ 4전시실로 나누어져 있다. 제1전시실에는 한국인의 일생 및 의/식/주‚ 제2전시실은 생업(生業)‚ 제3전시실은 민속공예/민간신앙과 오락/학술과 제도‚ 제4전시실은 특별전시실로 민화실과 불교 회화실/퇴호유물실로 되어 있다. 총 1만 7000여 점의 민속자료가 소장 및 전시되어 있으며 그밖에 야외전시장에는 석조미술품과 토속가옥/방앗간/정자/장승 등을 복원해 놓았다. 또 도설 《한국의 민속》 《민속도록》 《한국의 벼루》 등이 있고‚ 시청각 자료로 슬라이드 필름도 있다. 충청남도 아산시 권곡동(權谷?)에 있다. 기타정보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kcti.re.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