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경상

추천0 조회수 33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경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9-22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경상은 조선시대 책상의 용도로 사용된 서안(書案)의 일종이다. 좌식(坐式) 생활에 맞도록 높이가 낮고‚ 책을 겨우 펼 수 있는 정도의 작은 크기였다. 원래 사찰에서 불경(佛經)을 읽을 때 스님들이 사용하였던 것으로‚ 적어도 16세기경에는 사랑방에서도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천판(?板: 가구에서 가장 위의 면을 막아주며 마감하는 판)의 양 끝은 살짝 들려 올라갔는데 이러한 두루마리귀는 두루마리 책[卷冊]이나 병풍처럼 접혀진 책[摺冊]이 굴러 떨어지는 것을 막아주었다. 다리는 유연한 S자형을 이룬 호족형(虎足形) 다리이며 대나무 마디 모양과 넝쿨 무늬의 풍혈(風穴: 물건의 둘레에 구멍을 뚫거나 잘게 새겨 붙이는 꾸밈새)로 장식되었다. 2층으로 된 서랍 문의 앞판은 세 개의 동자(판재의 좌우나 상하 면을 나누거나 힘을 보강하기 위해 댄 골재)로 나뉘어졌으며 코끼리 눈 모양을 본 뜬 안상 무늬[眼象文]로 장식되었다. 경상의 측널에는 여의두 무늬[?意頭文: 승려가 설법할 때 지니는 막대의 머리를 장식한 영지 모양의 무늬]가 음각되었다. 2층으로 된 서랍이 다소 묵직한 느낌을 주지만 호족형 다리가 안정감 있게 받쳐주고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