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동물과 사물의 모양에서 유래한 식물명

추천0 조회수 459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동물과 사물의 모양에서 유래한 식물명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9-1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동물과 사물의 모양에서 유래한 식물명>식물의 이름은 향명‚ 국명‚ 학명의 세 가지가 있습니다. 향명은 특정 지역에서만 쓰이는 이름으로서 지방명‚ 방언이라고도 하며‚ 국명은 한 국가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로서 국어로 보면 표준어에 해당됩니다. 학명은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학술적 이름이며 속명과 종명으로 이루어진 이명법으로 명명됩니다. 국명은 한 국가에서 1개의 표준명만 사용되어야 하지만‚ 국제식물명명규약(ICBN; International Code of Botanical Nomenclature)에 의거 정명이 정해지는 학명과는 달리‚ 국내에서는 학자 또는 기관에 따라 통일되지 못하고 여러 가지 이름이 혼용되어 사용되곤 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국내·외에서 출간된 식물분류 관련 모든 문헌을 재정리하여 국가생물종목록「관속식물」(2011)을 발간하였으며‚ 총 4‚338종류의 자생 식물의 올바른 국명과 학명을 제시하였습니다.
국가생물종목록에 수록된 식물명(국명)에 대한 유래를 살펴보면 크게 8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은 것이 형태와 관련이 있는 이름이며 다음으로는 자생지‚ 용도‚ 전설이나 풍습‚ 향기 또는 맛‚ 개화시기‚ 외국명이나 방언에서 유래된 식물명 순이었습니다. 형태와 관련된 식물명은 주로 사람‚ 동물‚ 식물‚ 사물의 모습이 닮은 특징을 살려 명명되었거나 크기‚ 무늬‚ 털 또는 가시의 유무 등의 형태적 특징이 잘 반영되어 있습니다. 식물명은 해당 식물의 형태적 또는 생태적 특징이 잘 반영되어 있으면 식물을 처음 접하는 사람이더라도 쉽게 기억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동물이나 사물을 닮은 식물이라면 더욱더 그러합니다.
이번 호에서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식물 중에서 이름이 동물이나 사물의 모양에서 유래된 것을 소개합니다.
1. 동물을 닮은 식물(전체 또는 일부가 동물의 모습에서 유래된 식물명)
- 해오라비난초‚ 매발톱‚ 두루미천남성‚ 배암차즈기‚ 박쥐나무‚ 쇠무릎‚ 나비나물‚ 두루미꽃‚ 까치발‚ 노루발‚ 범꼬리‚ 거북꼬리‚ 쥐손이풀‚ 고슴도치풀‚ 지네발란‚ 거미고사리‚ 다람쥐꼬리 등
※ 해오라비난초 : 꽃이 해오라기를 닮은 난초과 식물
※ 매발톱 : 꽃이 매의 발톱과 닮은 식물
※ 참배암차즈기 : 꽃의 모습이 주둥이를 벌리고 혀를 내밀고 있는 뱀(배암)을 닮은 차즈기(들깨류)
※ 박쥐나무 : 잎이 박쥐를 닮은 나무
※ 두루미천남성 : 전체 모습이 날개를 펴고 있는 두루미의 모습을 닮은 천남성
※ 마가목 : 겨울눈의 형태가 말(마‚ 馬)의 어금니(牙‚ 아)를 닮은 나무라는 뜻의 마아목(馬牙木)에서 유래
2. 사물을 닮은 식물(전체 또는 일부가 사물의 형태에서 유래된 식물명)
관중‚ 사다리고사리‚ 낚시고사리‚ 부채괴불이끼‚ 주걱일엽‚ 종덩굴‚ 금낭화‚ 족도리풀‚ 우산나물‚ 초롱꽃‚ 미선나무‚ 풍선난초‚ 닻꽃‚ 구슬냉이‚ 조록나무‚ 화살나무 등이 있다.
※ 종덩굴 : 꽃이 종을 닮은 덩굴 식물
※ 금낭화 : 꽃이 비단(錦‚ 비단금)으로 만든 낭(囊‚ 주머니)을 닮은 식물
※ 족도리풀 : 꽃이 족두리(부녀자가 예복에 갖추어 쓰던 관)를 닮은 풀
※ 미선나무 : 열매가 미선(尾扇‚ 둥그스름한 모양으로 만든 부채의 일종)을 닮은 나무
※ 풍선난초(애기풍선난초) : 꽃이 풍선을 닮은 난초과 식물
※ 닻꽃 : 꽃이 닻(배의 정박시킬 때 사용하는 갈고리)을 닮은 식물
3. 동물과 사물을 닮은 이끼류
구슬이끼‚ 통모자이끼‚ 새우이끼‚ 너구리꼬리이끼‚ 쥐꼬리이끼‚ 사자이끼‚ 표주박이끼‚ 우산이끼‚ 보리알이끼‚ 담뱃대이끼‚ 풍경이끼‚ 봉황이끼‚ 깃털이끼 등이 있다.
※ 구슬이끼 : 삭(포자주머니)이 구슬을 닮은 이끼
※ 담뱃대이끼 : 삭(포자주머니)이 담뱃대(짧은 곰방대)를 닮은 이끼
※ 새우이끼 : 전체의 모습이 새우를 닮은 이끼
※ 너구리꼬리이끼 : 줄기와 잎이 너구리의 꼬리를 닮은 이끼
※ 통모자이끼 : 삭모(삭을 감싸고 있는 덮개)가 통이 긴 모자를 닮은 이끼
※ 풍경이끼 : 삭(포자주머니)이 처마 밑에 다는 풍경(風磬)을 닮은 이끼
김진석 국립생물자원관 박사
-- 공동기획 | 소년조선·국립생물자원관 --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s://species.nibr.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