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바로크의 시대정신‚ 한국의 도시설계에 도입 절실하다”

추천0 조회수 279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바로크의 시대정신‚ 한국의 도시설계에 도입 절실하다”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3-04-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유럽을 방문하는 한국인들은 여행기간 동안 서양의 많은 건축물들을 눈에 담아오지만 그 건축물들이 대체 어떤 문화와 역사적 배경을 갖고 태어난 것인지 모르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한국국제교류재단(Korea Foundation) 문화센터에서 ‘바로크·로코코이야기’ 라는 주제로 개최되고 있는 정기문화강좌 중 김란수 교수의 [바로크 시대의 광장과 궁전]‚ [바로크‚로코코 시대 주요 건축물] 은 이런 궁금증을 풀어주기에 충분했다.    덕수궁 석조전을 찾았던 경험이 있는 사람들도 이것이 대표적인 르네상스풍 신고전주의 양식을 따르고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경우가 허다하다. 석조전이 대한제국의 마지막 궁궐로서 광무 4년(1900)에 착공하여 융희 3년(1909)에 준공되었으며 전통 건축양식이 아닌 서양건축이라는 정도를 알 뿐이다. 이 건축물은 외관이 19세기 초 유럽에서 유행한 르네상스 신고전주의 양식을 보이고  있다. J.R.하딩(J.R.Harding)이 설계를‚ 내부 설계는 영국인 로벨(Lovell)이 각각 맡았다.    석조전에서 우리는 대한제국 고종 황제가 조선왕조의 정신적 지배자였던 중국을 거부하고 서양 문물의 새로운 도전을 받아들이려는 결기의 표현을 읽을 수 있다. 구한말 조선이 유럽을 배워 국난을 극복하려는 우리의 민족적 욕망을 함축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한 시대의 건축물은 그 시대의식의 집약적 표현인 동시에 국가 공동체와 집단지성의 외연인 것이다. 김 교수를 강의 직전에 만났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s://www.kf.or.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