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2009년9월6일]서민복지안전망 구축 MOU체결‚ 1004『행복나르미』발족

추천0 조회수 18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2009년9월6일]서민복지안전망 구축 MOU체결‚ 1004『행복나르미』발족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09-09-09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경상북도(김관용 도지사)는 복지시책의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골목골목 발로 누비는 현장성과 기동성을 갖춘 집배원의 도움을 받아 위기가구 발굴 등 사회 안전망 확충을 강화키로 하고 경북체신청과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경북도는 9. 6일(일) 영주 가흥종합사회복지관에서 김관용 도지사와 김영수 경북체신청장‚ 김주영 영주시장‚ 김종천·손진영 도의원‚ 23개시군 집배원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업무협약체결과 함께 경상북도『행복나르미』발대식을 갖았다. 이날『행복나르미』발대식에서는 집배원 1‚004명의 사회안전망 역할 수행을 위한 경상북도와 경북체신청간의 업무협약 체결‚『경상북도 행복나르미』위촉장 수여‚ 결의문 채택 등을 갖고 본격적인 위기가구 발굴 및 복지사각지대 해소에 나선다. 『행복나르미』발족은 아직도 경제위기 상황이 이어지고 저소득 취약계층의 생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경상북도 하반기 민생안정 신 구상 차원에서 추진하게 되었다. 특히‚ 금년 하반기부터는 생계위기 가구의 생활안정에 한 치의 빈틈이 없도록 하자는 경상북도와 경북체신청간의 의지가 투합된 결의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상북도는 지난해부터 시작된 글로벌 경제위기에 따른 서민생활 안정을 위해 금년초부터 민생안정 추진단을 결성하고 위기가구 발굴 및 지원을 위한 민생안정대책을 추진하여 7만8천여 가구를 지원한바 있다. 이와 같은 지원에도 불구하고 경북도는 복지사각지대가 여전히 상존하고 저소득층 및 취약계층이 있다고 판단하고‚ 하반기에는 집중적으로 위기가구와 복지 사각지대를 뿌리 뽑겠다는 단호한 의지의 표명이라 밝혔다. 지금까지 추진체계로는 위기가구 발굴 요원에 사회복지 공무원을 위주로 한 공조직과 통·리·반장‚ 새마을지도자 등 준 공조직을 활용하여 추진해 왔으나 현장성 있고 기동성 있는 집배원의 활동을 복지행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 양기관간 상호 긴밀한 협의결과 전폭적 의견일치를 통해 오늘 전국 최초로 위기가구 발굴 및 사회안정망 역할 수행에 앞장설 것을 다짐하는 『경상북도 행복나르미』발대식을 개최하고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 □ 『행복나르미』로 위촉된 집배원의 역할은 직무활동 중 생계위협을 받고 있는 위기가구 발견시 행정기관에 통보함은 물론 독거노인이나 소년소녀가장‚ 장애인‚ 다문화가정 등 저소득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주의와 관심으로 보살피고 화재나 재해 등 위험요소 발견시 관계당국에 통보하는 등 사회안전망 역할 수행에 중점을 두고 있다. 김관용 도지사는“양극화 해소 없이는 사회통합이 있을 수 없고‚ 사회통합 없이는 경제발전이 있을 수 없다” 면서 경제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해서는 저소득 취약계층의 생활안정이 필수적으로 “함께 나누는 좋은 세상” 만들기에 집배원『행복나르미』가 앞장서 줄 것을 당부하고 도지사도 틈나는 대로 위기가구 및 취약가구를 수시로 방문 격려하는 등 민생 현장을 발로 뛰겠다며 지금까지와는 다른 결연한 의지를 다지며‚ 전 공무원이 대 주민 행정서비스를 선제적‚ 예방적 능동적 마인더로 전환하고 사고의 틀과 행동의 변화를 촉구했다. 작성일 : 2009-09-09 15:08:08.0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gb.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