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이야기가 있는 안동의 맛

추천0 조회수 127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야기가 있는 안동의 맛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6-04-1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유교 정신이 살아있는 안동에는 옛 선조들의 이야기가 있는 음식이 많다. 선비문화의 중심지로 다른 지역에 비해 의례음식(儀禮飮食)이 발달된 안동은 전통문화에 대한 자부심과 보수성도 강해 지역 특성이 강한 향토음식을 전승해 오고 있다. ▲ 안동을 대표하는 간고등어는 소금간이 잘 베어있어 밥 반찬으로 안성맞춤이다. 짭짤한 안동 고등어 석쇠 위에 올라간 생선이 고소한 냄새를 풍긴다. 바삭하게 익은 생선은 윤기가 흐르고 살이 도톰해 더욱 먹음직스럽다. 안동을 대표하는 음식인 ‘간고등어’다. 안동에서 가장 가까운 바다는 약 80km 거리에 있는 경상북도 영덕(盈德)이다. 교통수단이 발달하지 않았던 과거‚ 내륙지방인 안동에서 고등어를 맛본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영덕에서 안동까지 고등어를 가져오려면 짚신발로 하루 넘게 걸어야 했다. 이동시간 때문에 자칫 고등어가 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상들이 생각해낸 보존방법은 염장법‚ 바로 소금이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안동사람들은 숙성 후에 생선의 비린 맛이 빠지면서 육질이 더욱 맛있게 변한다는 것을 알게 됐고‚ 소금에 절인 간고등어를 즐겨 먹기 시작했다. 담백하고 짭짤한 간고등어 구이는 현대인의 입맛에도 안성맞춤인 음식이다. ▲ 안동지역에서는 손님상을 차릴 때나 집안의 큰 행사를 치를 때 문어요리를 꼭 올린다. 점잖은 물고기‚ 문어 문어는 한자로 문어(文魚)라 쓰는데 안동 선비들은 학문을 뜻하는 문어를 양반의 고기로 생각했다. 또 선비들이 글을 쓸 때 사용하는 먹물을 가지고 있다 하여 문어는 ‘점잖은 물고기’로 인식 됐다. 해서 양반들은 문어요리를 손님상에 대접하는 것을 예의로 여겼다. 안동지역에서는 오늘날까지도 접빈음식으로 빠지지 않는 것이 문어요리다. 생일‚ 결혼‚ 회갑‚ 상례‚ 제사 등 집안의 큰 행사를 치를 때도 문어를 올린다. 안동문어의 특징은 특유의 싱싱함과 졸깃졸깃한 맛에 있다. 안동사람들은 하나 같이 문어의 맛을 최대화시키기 위해서는 문어를 ‘잘’ 삶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즉 물의 육수와 온도‚ 간‚ 시간 등이 정확히 맞아야 좋은 맛을 낼 수 있다. ▲ 안동식혜는 일반 식혜와는 다르게 국물이 적기 때문에 숟가락으로 떠먹는다. 무와 고춧가루가 들어가는 독특한 안동식혜 안동에는 경상도 북부지방의 음식으로 유일한 식혜가 있다. 그 식혜의 이름이 바로 ‘안동 식혜’다. 맛이 워낙 독특해서 진짜 안동사람인지 아닌지 구별할 수 있는 음식이기도 하다. 안동식혜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식혜와는 아주 다르다. 찹쌀 혹은 멥쌀‚ 엿기름‚ 무‚ 생강‚ 고춧가루‚ 생수를 재료로 하여 발효시킨 유산균음료다. 안동식혜는 일반 식혜에 비해 국물이 적기 때문에 마시기 보다는 숟가락으로 떠먹는다. 안동을 중심으로 경북북부지역에서 많이 먹는데 겨울철에 살얼음이 살짝 언 상태로 먹는 것이 제 맛이다. 안동의 옛 선비들도 소화를 도와주는 안동식혜를 후식으로 즐겨 먹었다고 한다. ▲ 안동찜닭은 닭고기‚ 채소‚ 당면 등을 간장에 졸인 담백한 음식이다. 대중에게 많이 알려진 안동찜닭 안동에서 유래된 안동찜닭은 다른 지역의 찜닭과는 달리 닭고기‚ 당면‚ 온갖 채소 등과 간장을 섞어 졸인 음식이다. 유래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어떤 이들은 안동의 부촌인 안동네에서 특별한 날 해먹던 닭찜을 바깥동네 사람들이 보고 ‘안동네찜닭’이라고 부른 것에서 시작됐다고 한다. 또 안동 구시장 닭 골목에서 손님들의 요구대로 이런저런 재료를 넣다 보니 찜닭이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안동찜닭은 양념의 달콤함‚ 붉은 건고추의 매콤함‚ 간장소스의 짭짤함‚ 닭고기의 담백함이 잘 어우러진 음식이다. 여기에 추가된 쫄깃한 당면이 안동의 별미인 안동찜닭의 맛을 만들어낸다. 가격에 비해 양이 푸짐한 안동찜닭은 전국에서 인기 있는 음식으로 자리잡았다. 이하나 코리아넷 기자 사진 위택환‚ 이하나 hlee10@korea.kr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kocis.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